d라이브러리
"또 하나의 자기"(으)로 총 2,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넷도 멀티미디어 시대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전혀 없기 때문이다.따라서 이런 작은 업체들은 유명 브라우저에 얹혀 자기들이 제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 하기 전에는 어떤 브라우저용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브라우저 뿐 아니라 운영체제(흔히 플랫폼이라고도 부른다)에 따라서도 달라질 ...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지구의 밀물과 썰물이 달과 관계가 있다는 의견을 제출했다.케플러는 자기력과 유사한 신비한 힘이 지구와 달 사이를 이어주고 있을 것이라고 ... 보름달에 보이는 거무스레한 얼룩이 계수나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또 옥토끼 두 마리가 번갈아 떡방아를 찧는 모습이라고도 했다.당나라 때 학자 ...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된 것이다.수백 년이 지난 뒤에도 싹을 틔우는 하나의 작은 씨앗이나, 괴상한 특성의 바이러스는 살아 ... 차이가 없음을 일찍이 간파했다.물론 노이만의 자기증식 이론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론 체계는 ... 일과 근본적으로 다른 이유는 후손에게 또 다시 자신과 같은 생물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과학동아 l1998년 01호
- 1년 동안 달의 극궤도를 돌면서 달의 구성물질, 화산활동, 중력 및 자기장 지도를 만든다. 또 얼마전 논란이 됐던 물의 존재도 확인할 예정이다.지금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달에는 산화철, 알루미늄, 티탄과 같은 광물질이 매우 풍부하다. 또 우라늄과 칼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엇보다 ... ...
- 1. 1948년의 세 천재 위너 샤논 노이만과학동아 l1998년 01호
- 세포자동자이론을 전개했다.노이만의 업적 중 또 하나는 게임이론이다. 모르겐스턴(Oskar Morgenstern ... 이론이었다.사이버네틱스는 인간과 기계를 하나의 공통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했던 과학계의 ... 할 수 있다. 그런 탐구의 결과로 생명체의 자기증식과 생물과 기계 사이의 관계 규명은 ... ...
- 가짜힘들의 행진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힘은 크게 만유인력, 전자기력, 핵력이 있는데 핵력은 강한 핵력과 약한 ...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나의 힘이 더 필요하다. 그 힘이 바로 ‘가짜힘’이다 ... 느낌을 받는 것도 가짜힘 때문이다. 또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몸이 가벼워지거나 ... ...
- 선조들의 지혜 숯과학동아 l1997년 12호
- 벌에 쏘이면 해독제로 된장을 발랐고 종기가 나도 된장을 붙였다. 또 소가 죽을 잘 안먹으면 어른들은 된장을 퍼다가 소죽과 같이 끓여 ... 교훈을 담고 있다.현대인들은 줄기차게 앞만 보고 달려간다. 그러다보면 자기의 뿌리도, 형제도, 친구도, 조국도 잊고 살아간다. 한번쯤 가는 길을 돌아보며 ... ...
- 카이로프랙틱 식물인간이 깨어난다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뇌에 대한 각종 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핵자기공명장치나 단층촬영장치, 그리고 뇌파측정기와 같은 첨단 장비가 동원된다. 또 외부 자극에 따라 눈동자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숨을 정상적으로 쉬는지와 같은 생리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 ...
- 만병의 근원 감기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유지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가끔 생물인지 아닌지 논란이 일지만, 자기증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생물로 보기도 한다. 감기를 일으키는 ... 건조한 겨울철에는 섬모운동이 위축돼 병균을 몸밖으로 내보내지 못한다. 또 난방이 발달한 요즘 바깥 기온과 방안 공기의 기온차가 커서 몸의 ...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주로 사용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컴퓨터로 자기만의 TV를 볼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다. 국내 ... 대형 모니터의 수요는 크게 늘었다.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시킬 수 있었던 도스와 달리 ... 때문에 모니터가 클수록 작업하기 쉬워진다. 또 인터넷을 더 잘 검색하려면 화면이 큰 것이 유리하기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