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악
언덕
마운트
혼란
산란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있던 양전하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수십km 상공의
산
소를 때리고 흥분 상태의
산
소에서 붉은 빛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것이 바로 붉은 스프라이트라는 설명이다.스프라이트는 고도 90km 근처의 대기 상층에서 아래로 치는 메가번개임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위로 치는 번개는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하지만 그 대신 발견한 사람이 원하는 이름을 붙일 권리를 갖는다.한국천문연구원은 보현
산
천문대가 2004년 발견한 5개의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승인을 받아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처럼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붙였다.진정으로 밤하늘에 자신의 이름을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전이 높은 대칭상에서 전이점에 접근하면 질서 파라미터의 요동이 커져 전이점에서 발
산
하고 낮은 대칭상에서 전이점에 접근하면 질서파라미터의 자발값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전이점에서 0이 된다 분자식은 같으나 구조식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이성현상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 · 지층의 ... ...
원자세계 직소퍼즐 주기율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숫자를 더해서 2로 나누면 가운데 숫자가 된다. 탄소(C, 원자량 12), 질소(N, 원자량 14),
산
소(O, 원자량 16)의 원자량도 같은 관계식을 만족한다($\frac{12+16}{2}$=14 ).당시 화학자들은 원소의 세계에 수학적인 규칙이 숨어있다는 점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독일의 화학자인 요한 되베라이너는 1829년 3개의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푸르푸랄을 생성한다락톤과 p-브로모페닐히드라존을 생성하지 않는 점에서 글루쿠론
산
과는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함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함수방정식의 근사해법의 하나 형식적으로는 비선형의 문제,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개미나 벌이 대표적 예다자음과 모음을 합해 글자를 만드는 결합 형태를 말한다 생
산
성이 좋아서 한글의 자모 24자를 조합하면 1만2천여자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낱소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로마자 등이 음소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 ...
수돗물의 투명한 표준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결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인증표준물질(CRM)을 연구하고 있다. 리트머스 종이로
산
과 염기를 구분할 수 있듯 물속에 들어있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정확히 얻어내기 위해서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해 검사한다.표준연의 인증표준물질은 각국의 표준기관과 비교분석해 인증값으로 확정된다.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갔을 때 -2등급까지 밝아졌지만 실제 하늘에서는 그 정도로 밝지 않았다. 해가 진 직후
산
꼭대기에서 눈에 간신히 보일 정도로 -2등급의 위용은 느낄 수 없었다.그렇다면 올해 예정된 혜성 중 가장 밝은 혜성은 무엇일까? 안타깝게도 올해에는 밝은 혜성이 없다. 그래도 굳이 찾자면 바로 5월에 볼 수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180~300ppm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나 2005년에는 379ppm으로 치솟았다. 특히 1995~2005년에는 이
산
화탄소 농도가 연간 1.9ppm씩 늘어 1960~2005년의 평균인 1.4ppm보다 빠른 증가율을 보였다.지구온난화가 전세계에 미칠 영향적도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요인1993~2003년의 위성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닷물이 . ...
페널티킥 실축하고 머리 감싸쥐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셈이다. 우리의 뇌가 오랜 동안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한
산
물임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이야기다.실축 뒤 축구선수와 관중이 모두 뒷머리를 감싸쥐는 행동에는 축구 문화를 공유하는 다른 동료의 행동을 모방해 집단의 일원임을 확인받으려는 의지가 숨어있다. 유럽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