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팔은 발보다 빠르다! 휠체어 육상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척수에는 운동, 감각 그리고 자율
신경
세포가 있으며 대뇌와 소뇌로 연결되는 많은
신경
이 있다. 사고로 척수를 다치기도 하고 소아마비에 걸려 척수가 손상되기도 한다. 척수의 한 부위를 다치면 그 부분 아래의 감각과 운동 기능이 마비된다. 다친 부분이 위에 있을수록 더 많은 감각과 운동 능력을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4월호에 기후 변화에 따른 왕나비의 한반도 진출에 관한 내용을 소개했다. 이때 경계색과
신경
독성 물질로 스스로를 지켜내는 애벌레의 생존전략을 언급했지만 철사도 그런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머리와 배 끝 부분에 있는 2쌍의 검고 퉁퉁한 철사는 먹으면 목에 걸릴 것 같은 가시 같고 크기도 훨씬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기만 하는 게 아니라 반복적으로 노동을 하기 때문에 몸에 무리가 생기고, 결국 자율
신경
에 이상이 생겨 심혈관증세가 일어난다”고 말했다.김인아 교수는 “심혈관계 질환은 협심증 등 심혈관계 질환이나 심근경색, 그리고 뇌출혈이나 뇌경색과 같은 뇌혈관 질환”이라며 “흔히 ‘과로사’라고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HAL이 근전도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사람의 두뇌에서 근육 쪽으로 넘어오는
신경
을 분석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근전도 방식보다 한층 더 진보한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뇌 과학자들은 뇌세포 내에서 바로 신호를 꺼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기계 연결장치(BMI)라고 ... ...
나는 대한민국 수학 국가대표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때 수학을 즐길 수 있어요.준오 잘 못하는 과목일수록 성적에 연연하게 되잖아요. 성적에
신경
쓰다 보면 재미도 없어지게 마련이죠. 성적보다는 학문 자체의 매력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 마지막 질문입니다. 여러분에게 수학은 □다?영진 수학은 노력이다. 열심히 해야 더 잘할 수 있어요.재원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제 멸종하게 생겼으니까. 앞으로 구경도 못 할 거야.뒤영벌 : 우리가 지금 딸기 맛에
신경
쓰게 생겼니? 꿀을 먹을 만한 식물이 다 사라져가는데.나비 : 맞아. 꿀벌이 사라지고 나니까 식물들까지 금세 사라지더라. 꿀벌이 이렇게 일을 많이 하는지 미처 몰랐어.뒤영벌 : 특히 딸기 꽃은 꿀벌이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인정하고 있다. 한국은 아버지가 고엽제후유증 환자이고, 자녀도 척추이분증, 말초
신경
질환을 겪는 극히 제한적 경우에만 2세 피해를 인정하고 있다.임종한 교수는 “베트남에서 발견된 많은 사례를 연구한 결과 고엽제가 2세들에게 다양한 피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바늘 없는 주사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주사기 노즐에서 나오는 물줄기가
신경
망 사이의 간격보다 커 통증을 없애진 못했다.“노즐의 크기가 작을수록 아주 강한 힘이 필요합니다. 표면장력의 저항을 뚫고 약물을 빠른 속도로 밀어내야 하기 때문이죠. 이번에 개발한 무통 주사기는 기존 ... ...
빛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기적의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전극에 빛 신호를 전달하지요. 전극에 전달된 빛 신호는 다시 시
신경
으로 전해져요. 시
신경
이 감지한 신호는 다시 뇌로 전달되고, 그결과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어서 앞을 볼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빛을 볼 수 있게 되면 좋겠네요!저도 빨리 많은 사람들의 눈이 되고 싶어요. 하지만 저는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와 관계 있는지를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하 교수는 임산부의 휴대전화 사용이 태아의
신경
인지발달에 영향을 주는지도 추가로 조사하고 있다. 더 안전한 휴대전화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있다. 이중근 한양대 전자통신공학과 교수는 “앞으로는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과연 어느 정도까지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