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물질이 들어 있거든요. 통째로 삼키면별탈없이 배출되지만, 부수거나 갈아서 먹으면
얘기
가 달라집니다. 아미그달린이 몸 속에 들어가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시안화가스, 즉 청산가스를 배출하거든요. 청산가스는 위 점막에 흡수된 후 핏줄을 타고 돌면서 세포조직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바뀐 사례도 있다.선행이 주는 쾌락흔히 도덕과 윤리는 인간만이 갖고 있는 특성이라고
얘기
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는 특유의 사회적 행위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도덕적 믿음에 기초해 자신의 물질적 이득을 기꺼이 희생하는 자선기부 행위를 한다. 뇌는 왜 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걸까?미국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측핵을 억제하고 이성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이 전전두엽의 주요 역할 중 하나라는
얘기
다. 가격대 성능비를 따지고, 자신의 형편과 상황을 고려해, 쇼핑을 자제하고 참게 하는 뇌 영역이 바로 전전두엽이다.뇌를 들여다보면 소비자의 마음이 보인다신경경제학자들의 이런 연구는 어디에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인원보다 더 많은 수의 인원이 공급된 측면이 있어 자연스럽게 조정되는 과정이라는
얘기
다. 한국의 의사 1인당 인구 수는 530명(2007년 기준)으로 여전히 선진국 수준(300명 미만)에 크게 못 미친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기초의학 분야가 뒤떨어져 대부분의 의료 지식과 기술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7년 대기근이 들었을 때 굶어죽었다. 이때 그의 연구 자료와 논문은 누군가가 훔쳐갔다는
얘기
가 전한다.신고식에 참여한 조선 천문학자 명부관상감의 부서 가운데 삼력에 능통한 삼력관이 근무하던 삼력청은 주목할 만하다. 삼력(三曆)은 중국의 대통력인 칠정산 내편, 아라비아의 역법인 칠정산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종종 발견되는 자그마한 운석
얘기
가 아니다. 바로 지구 환경을 송두리째 바꿔버리는 그런 대규모 충돌을 말한다.이런 인식을 갖게 한 첫 번째 중요한 사건은 1980년 발표된 한 논문이다. 미국의 월터 알바레츠 교수는 백악기와 신생대3기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북극성은 천구의 북극에서 약 1° 떨어져 있다. 실제 천구의 북극에는 아무 것도 없다는
얘기
다. 그럼 어떻게 극축을 맞출까. 가대의 적경축 안에는 가대의 회전축을 천구의 북극에 맞출 수 있는 극축망원경이 내장돼 있다. 또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북극성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식(극망스케일)이 있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은하수 중에서 암흑성운이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부분)도 확인했다. 사진으로 과학
얘기
하면 재밌어 “사진과 연구, 사진과 실험이 별개가 아닙니다. 연구에서 기록은 매우 중요해요. 사진은 중요한 기록매체 중 하나죠. 게다가 카메라는 광통신을 연구하는 제게 광학의 기초를 공부할 수 있는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오랜 진화의 세월동안 변함없이 사용돼 온 뇌 속의 보상기제 활동으로 만들어졌다는
얘기
다. 외모에 대한 편견을 넘어첫인상에 대한 순간적인 판단은 이어지는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200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과 잉그리드 올슨 교수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얼굴 사진을 보여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점박이의 일대기다. 주인공은 왜 점박이일까. 한 PD는 “학생들이 좋아하고 드라마틱한
얘기
가 나올 수 있어 육식공룡을 선택했고 당시를 호령했던 최고의 맹수인 타르보사우루스로 정했다”며 “한국 공룡이니까 이름도 친근하게 점박이라고 지었다”고 말했다. 점박이는 콧등에 ‘몽고반점’처럼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