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으면 해결도 이곳에서 해야 한다고, 난관은 똑바로 마주보아야 한다고, 양자 이론의 역사 만큼이나 오래 된 충고를 해야 했다. 하지만 나는 거짓말이 싫었다.“그래.”왜냐하면, 진심은 수많은 질문을 미리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직도 옆 우주로 가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나는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1940년대는 그에게 수학자로서 인생에 중요한 시기였는데, 이 시기에 그는 미분기하학의 역사에 두고두고 남을 주요 업적을 쌓았다. ‘가우스-보네 정리’의 우아한 증명을 발표하며 ‘특이류’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 기하학적 불변량은 이제 ‘천류(Chern class)’라고 불린다. 이 개념은 ...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막대기 안에 숨은 덧셈(고대 그리스 시대)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한 ‘스키테일 암호’는 나무 막대기에 글자를 적은 양피지 띠를 둘둘 감아야만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각기둥 모양의 막대기가 있다고 하자. 양피지를 막대기에 감을 때 한쪽 면에 위치하는 글자들은 양피지를 폈을 때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책을 2권씩 들고 다녔으며 1년에 50권 정도의 책을 읽었다. 경영, 미래 전망에서 인문, 역사에 이르기까지 읽는 책의 분야도 다양하다. 그는 학생들에게 김난도 교수의 책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권했다. 청춘은 실패할 수 있다는 특권을 지녔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며. 그는 학생들에게 직업에 대해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좋지만 자기개발서는 좀 별로예요. 그런 책 많이 본 사람, 성공 못하더라고요. 차라리 역사책이나 철학책, 과학책을 보세요.”이 관장은 대학 시절, 고등학교 시절을 되돌아보니 직업적인 성공이란 게 의외의 길에 많이 놓여 있었다고 말한다. 이 관장이 대학에 들어갈 때는 생물학 그러면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움직인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사실 그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건 그 역사가 깊다. 기원전 1만 8500년에서 1만 400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알타미라 동굴벽화에는 다리가 8개인 멧돼지가 있다. 구석기인들이 달리고 있는 멧돼지를 표현하기 위해 이 방법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승격이 되면서 첫 원장이 됐다. “우리들은 그걸 소원성취라고 불러요. 국과수 50년 역사의 소원이었거든요. 제가 첫 원장인데 사실 제 남편도 소장을 지냈어요. 그래도 가끔 집에서 모임이 있을 때 ‘나는 원장, 당신은 소장’이라고 확인해 주죠. 하하하.” 국과수를 이끌면서 참 많은 일이 있었다.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움직임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사람들이 있었지. 이 때 프랑스의 물리학자였던 나, 푸코가 역사적인 실험을 했어. 일명 ‘푸코의 진자’. 1851년 나는 수도 파리에 있는 돔형 건물인 ‘팡테옹’에 진자를 매달았어. 길이 67미터의 실 끝에 매달린 28㎏짜리 추가 흔들리는 면, 즉 ‘진동면’은 사람들이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경우도 있습니다(피부색처럼). 현재 미국에서는 인종이 생물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역사나 문화, 사회 등 인문적인 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인종이 생물학적인 종이 아니라고 밝혀지자, 이번에는 종의 하위 개념인 ‘아종’인지 묻게 됐습니다. 아종은 ‘어느 정도로 고립된 상태에 있는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최근의 빅데이터 열풍과 함께 생명정보학은 생물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첨단 분야로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분석하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의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미생물은 유전체가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