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떤 곡선의 둘레가 일정할 때 면적을 가장 크게 만드는 모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둘레가 일정할 때 넓이가 가장 큰 평면도형은 원이고, 겉넓이가 일정할 때 가장 큰 부피를 가진 입체도형은 구입니다. 2~4차원일 때 아다마르 다양체에서 등주 부등식이 성립한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져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방식이 비슷해서 테트리스를 잘 하는 방법이 1010!을 잘 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 프로 선수들은 크기가 다른 사각형 모양을 모자르거나 남는 부분 없이 채우는 블록 조합을 외운다고 합니다. 사각형을 잘 만들면 세로로 길쭉한 블록을 놓아 한 번에 여러 줄을 지울 수 있기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시간이 어떤 식으로 증가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어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답니다. 예를들어 같은 문제를 푸는 데 쓸 수 있는 두 알고리듬의 실행 시간이 O(n²)과 O(n!)이라면 당연히 O(n²)인 알고리듬을 골라야겠죠?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에 대한 함수입니다. 그러니까 100중에 1이 답일 때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도 기계나 시스템을 망가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 예로 소리를 이용해 드론을 추락시킨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에서 정상적으로 비행하던 드론은 작은 소리가 들리자 갑자기 땅으로 곤두박질쳤다. 드론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인 자이로스코프가 망가진 것이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활약하며, 항상 다음 세대 우주 분야 전문가들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무카이 박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육은 우리가 꿈을 마음속에 그리게 만들고, 그 꿈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믿습니다(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enables us to envision and to pursue our dreams).”그는 항상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공존해서 일반 컴퓨터가 한 번 계산할 때 2(큐비트의 수) 만큼의 계산을 할 수 있어.예를 들면 큐비트 1개가 0인 동시에 1인 셈이니까 2개의 큐비트는 00, 01, 10, 11 총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만약 4개라면 총 24(=16)가지겠지? 시커모어는 큐비트가 53개니까 총 253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거지. 이 말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학 관련 영화처럼 자신의 관심사와 관련 있는 것을 찾으면 금세 즐길 수 있을 거예요.(☞인터뷰 원문은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멘토링&인터뷰]를 참고하세요!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있거든요. 더 미래로 나아가면 데이터 세계의 정보가 실제 세계와 거의 같아지게 될 거예요. 데이터 세계는 만져지지도 않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곳이에요. 데이터 세계의 주민은 ‘수’고 이들의 활동은 ‘함수’로 나타나죠. 따라서 빅데이터 시대에 문제를 정의하고 실제 세계에 적용하려면 수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한계를 ‘탄성 한계’라고 하지요. 풍선을 너무 크게 불면 터지는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예요. 섭섭박사님은 “나무 막대를 너무 세게 구부리면 탄성 한계를 넘어 막대기가 부러질 수 있다”며 조심히 다룰 것을 당부했지요. 모든 물체는 각각 다른 탄성 한계를 가져요. 그래서 고무줄과 종이에 같은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하나의 배아에서 서로 다른 종의 세포가 보완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췌장을 만들지 못하는 돼지의 배아세포에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해 키메라 배아를 만들면 이 키메라 배아는 췌장으로 분화하게 된다. 돼지의 몸에서 분화했지만 온전히 사람의 세포로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