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워진 북극, 세계의 화약고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적으로 계산한 것이라 실제는 더 많이 매장됐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들의 생각이다.Q3 기후대란을 일으키지 않을까?기후학자들은 앞으로 지구 온도 상승을 2℃ 미만으로 묶어놔야 파국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영국 환경 단체인 카본 트랙커의 보고서 ‘태울 수 없는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직업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처음 명칭만 들었을 때는 동물행동학 같은 것을 전공한
전문가
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동물에 대해 연구를 했다고 해도 개에게 사건의 정황을 들어본다는 건 무리다 싶었습니다. 그 뒤의 일이 어찌 됐는지 궁금해 동물사랑실천협회 홈페이지를 다시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와일즈는 일생일대의 환희를 느꼈다. 자신이 바로 타원곡선이론 분야의 세계 최고
전문가
였기 때문이다. 신기루와 같고 자신과 관계없어 보이던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의 해결에 졸지에 세상에서 가장 근접한 사람이 된 것이다.그로부터 7년간 그는 두문불출한 채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에 매달렸다.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이 정도로 다양한 분야를 종횡무진하면서 내용까지 깊은 과학책은 보기 힘들다. 대개
전문가
의 에세이는 자신의 전공 한 분야에 머무르기 마련이고, 여러 분야를 소개하는 저널리스트의 글은 기발한 사례만 얕게 나열하다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과학자도 즐겨 읽을 정도로 주제를 철저히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생겨 피부나 호흡기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런던 의과대학교 부속병원 소아알레르기
전문가
애덤 폭스는 최소 한 달에 한 번 침대 시트를 갈라고 권유한다.암막커튼우리 몸에는 잠이 오게 하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있다. 빛이 사라지면 분비된다. 자야 할 시간에 눈에서 밝은 빛을 느끼면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직선으로만40km가 넘더군요. 실제로 땅굴을 팠다면 이보다 더 길겠지요. 제가 땅굴
전문가
는 아니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 정도 길이의 땅굴을 파는 게 쉽지는 않을 겁니다. 엄청난 양의 흙을 운반해야 할것이며, 산소가 모자라지 않게 환기도 시켜줘야 하며, 전력도 공급해줘야겠지요.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거야.”“엥? 우린 수학 가디언즈라며. 왜 괴현상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 거야?”“
전문가
들은 이 현상이 수학과 관계가 있다고 여기고 있어. 그래서 우리에게 임무가 주어진 거지.”폴은 수학 가디언즈로서 드디어 첫 번째 임무를 수행하게 됐다는 흥분에 몸이 부르르 떨렸다.“그래서 지금 가는 ... ...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친밀한 관계와 아빠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양보다는 질이다.
전문가
들은 아빠가 꾸준히 자녀와 함께 뭔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목욕을 하거나 옷을 갈아입힐 때 함께 하는 정도의 노력이면 된다. 하워드 스틸 미국 뉴스쿨대 교수팀은 아빠와 목욕을 한 아이가 그렇지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열매를 딸 수 있을 거예요. 잘 들어 보세요!효율적인 먹이 탐색 방법
전문가
들 사이에서 동식물의 생태나 행동이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 돼 있다는 생각은 예전부터 이어져왔다. 그런데 최근 동식물의 생존 전략이나 행동 모델을 게임이론 등으로 해석해 새롭게 연구하는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관객을 불러들인 ‘타워(2012)’의 불꽃 역시 유체 시뮬레이션의 결과다. 컴퓨터 그래픽
전문가
들에게 가장 큰 숙제는 유체를 얼마나 실감나게 보여주느냐다. 그러나 유체 시뮬레이션만으로는 ‘재미’있는 영상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유리창이 깨지는 것을 생각해보자. 유리가 깨질 때 금이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