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때부터 수많은 퍼즐을 섭렵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낀 안진후 학생은 퍼즐을 하나하나 수
집
하다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퍼즐이 없어 직접 퍼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첫 퍼즐을 몇 개월 만에 제작한 그는 단순히 경험상 참가해 본 국제퍼즐디자인대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당연히 믿기지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사정은다르지 않았다. 1960년대 초반 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보부까지 나서 이
집
트의 척박한 토지에서도 잘 자라는 볍씨(나다종)를 비공식적으로 들여왔지만 실패했다. 한반도에서 잘 자라면서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이 필요했다.마침내 1964년 허문회 서울대 교수가 필리핀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아직도 새로운 문이 70~80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박테리아는 배양해서 콜로니(
집
합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조차 없다(PLUS 참조). 이런 상황에서 아무리 신종헌터라지만, 새로운 종에 대한 감각이 있을까. "비과학적으로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피었다’고 할 수 있지?5월에 피는 철쭉도 비슷해. 학교에 있는 철쭉꽃은 피었지만
집
마당의 철쭉꽃이 피기 전이라면 우리 동네의 철쭉꽃이 피었다고 봐야 할까, 아닐까? 이렇게 알쏭달쏭한 자연 현상을 정확하게 하는 데 필요한 게 기준이야.우리 동네 벚꽃 피었는지 알려주는 표준목!올해 ... ...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교실에 벌이 들어왔어요. 저는 꿀벌인 줄 알았는데 친구들이 말벌이라고 무서워하더라고요. 꿀벌과 말벌, 어떻게 다른가요? 정은채(대구 이곡초 2)꿀벌꿀 ... 짓기 때문에
집
이 마치 거친 종이 같아요. 실제로 도시에 사는 말벌은 전봇대의 전단지를 갉아내
집
짓는 재료로 쓰기도 한답니다 ... ...
진짜 동물과 똑 닮은 동물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너는 아무리 봐도 캥거루와 똑같이 생겼구나!하하, 나는 키가 1m, 몸무게가 7㎏으로 몸
집
도 실제 캥거루와 거의 비슷해요. 땅에서 움직이거나 점프하는 모습도 캥거루와 약 99% 만큼이나 닮았지요. 과학자들은 동물이나 식물을 본떠 로봇을 개발하고 있어요. 그래서 나도 캥거루처럼 높고 멀리 점프할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겪었던 아이들 가운데 약 66.2%는 두 명 이상에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답했다.학교폭력이
집
단으로 일어나는 이유도 뇌에서 찾을 수 있다. 사람에게는 ‘거울뉴런’이라는 신경세포가 있어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하려는 본능이 있다. 인류가 다른 나라의 것을 받아들이고 배워서 문화를 발달시켜 ... ...
[재미] 9회 이장의
집
을 수색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러니 더 조심하며
집
을 수색해 보자고!”반장의 말에 따라 소마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집
구석구석을 살펴보았다. 그러다 거실 한쪽에 있는 서재로 들어갔다. 서재에는 벽면을 가득 채운 엄청난 크기의 책장에 책이 가득 꽂혀 있었는데, 놀랍게도 그 책은 모두 퍼즐 책이었다. 퍼즐마니아 소마는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50.45km)처럼 수십km에 달하는 터널도 TBM 공법으로 뚫었다. 2009 년 TBM 공법을 사용한 이
집
트 카이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깊이 20m짜리 싱크홀이 생겼지만 이곳이 이름 난 석회암 산지인 만큼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라고 보긴 어렵다. 우리나라도 석촌 공사장 외에 여의도 국회의사당 인근을 지나는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식물 가운데 광합성 능력이 가장 뛰어나요.해조류 숲은 물고기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집
이 되기도 해요. 물고기들은 해조류 숲 사이에 알을 낳고 그 속에서 어린 물고기들을 안전하게 키운답니다.알록달록 해조류 색소 분리황은경 박사님께서 주제관과 생태환경관에 전시돼 있는 해조류에 대해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