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준으로 네 개 그룹을 나눴다(0~2m, 2.1~5m, 5.5~10m, 11~100m). 그룹 간에는 유의미한 기분 차이가 있었는데, 창문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그룹이 긍정적인 기분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멀리 위치한 그룹이 세 번째 멀리 떨어진 그룹보다는 수치가 높았다. 종합하면 조명은 너무 어둡지 않되,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볼 수 있기때문에 자료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하지만 사람을 만나는 데는 차이가 있어요. 한국에는 수학을 활발히 연구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죠. 한국에서 같은 분야의 연구를 하는 사람을 만나는 게 쉽지 않아요. 다음 주에 일본을 가는 이유도 새로운 연구와 관련된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준정다면체는 정다면체처럼 각 면에 있는 모든 변의 길이와 각도가 같은 입체도형이다. 차이점은 각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정다면체와 다르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준정다면체인 ‘깎은 정이십면체’는 오각형 12개와 육각형 20개로 이뤄진 3차원 입체도형으로 축구공과 비슷한 모양이다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위가 활발하게 반응했고, 여자는 남자보다 전두엽이 더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남녀의 길찾기 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남자들은 동서남북 기본방향을 중심으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반면, 여자들은 연상기억법, 즉 ‘미용실을 지나서 직진하다가 가게가 나오면 우회전’하는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이 출발한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계산했다.이 기술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는 물론, 형태도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60cm 이하인 물체만 감지할 수 있지만, 앞으로 이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헤프너 연구팀으로, 이온트랩을 이용해 8개까지 성공했다. 8개와 1097개, ‘하늘과 땅’ 차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논문에는 전혀 없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100개가 안 되는 큐빗으로도 기존 컴퓨터는 따라잡지 못할 성능의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우연히 생긴 틈이 크게 벌어지면서 상상치 못한 결말을 맞은 셈이다. 로렌츠는 아주 작은 차이가 증폭돼 완전히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현상을 ‘나비 한 마리가 브라질에서 퍼덕인 날개짓이 텍사스에서 토네이도를 만 들 수도 있다’는 비유로 설명했다. 오늘날 누구에게나 익숙한 ‘나비효과’다.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견한 원자는 그리스 사람들이 생각했던 원자의 개념인 ‘깨지지 않는 입자’와는 차이가 있다. 원자 자체가 구조를 가진 복합체이기 때문이다. 20세기 초반,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에 열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물리학자들은 수소 스펙트럼이 예상과 달리 아주 독특하다는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을까? 갤리번의 공식과 실제로 종이를 접었을 때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하고 공식을 좀 더 정확하게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던 조민지 학생은 “계산은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았다”며 수줍게 웃었다. 종이를 열 번 남짓 접으려면 40장이 넘는 전지가 필요한데, ‘전지를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인데,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이는 현재 우주의 비대칭성을 설명하기에 는 그 차이가 너무 작다.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를 관측해 ‘CP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을 관측했고,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CP대칭성에 대한 내용은 4파트 참고).3. 5%를 넘어, 26.8%를 찾아라미국 천문학자 베라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