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징"(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따서 '장미 방정식'이라고 정의하고, 그 곡선을 '장미'라고 불렀다.장미 방정식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n이 홀수면 n개의 꽃잎이, 짝수면 2n개의 꽃잎이 그려진다. 결국 4n+2개의 꽃잎을 가진 장미는 그릴 수 없다. n이 정수가 아닐 때에는 여러 개의 꽃잎이 겹쳐서 나타나고, a의 값에 따라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전체 꽃식물이 공유하는 약 1만4000개의 유전자를 밝혀냈다는 점이다. 이들은 꽃식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핵심 유전자들이다.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암보렐라를 비롯해 주요 꽃식물에 들어있는 핵심 유전자들을 분석해 각 유전자군의 계통수를 작성했다. 이들 계통수를 해석하면 진화과정상 각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뤄진 것이다.이 시기를 전후해 질병에 대한 과학적인 분류도 생겨났다. 그간 ‘마녀의 특징’으로 간주되던 광기도 과학적 질병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1810년 영국의사 존 하슬럼은 정신분열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처음 발표했고, 1838년 프랑스 의사 장 에티엔 에스퀴롤은 처음으로 현대적인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약 등 다양한 것들을 얻어냈다. 이런 것들을 넘어 식물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을 발견했다. 엄청난 탐구심과 소유욕,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였다. 여기에 편승한다면 식물이 지구 전체에 퍼지는 것은 시간문제였다.예를 들어 아름답고 향기로운 식물은 인간이 특별히 신들에게 바치는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수열’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피보나치 수열은 각 항이 앞의 두 항의 합과 같다는 특징을 갖는다.준결정 표면에서도 피보나치 수열이 관찰된다. 박정영 카이스트 교수는 2005년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던 중, 준결정 표면의 원자 ... ...
- 고대어류 ‘틱타알릭’, 물속에서 이미 ‘뒷다리’ 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살던 생물이 뭍으로 올라가기 직전의 모습이라는 뜻이죠. 제가 물고기와 육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저는 물고기처럼 턱과 지느러미, 비늘을 가졌어요. 그리고 육상동물처럼 두개골과 갈빗대도 있지요.그렇다면 생물이 가장 먼저 나타난 곳은 땅이 아니라 물속이라는 말이야?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화석이 또 다른 데 이노케이루스라는 것도 알게 됐다. 두 표본의 넓적다리 뼈가 같은 특징을 보인 것이다. 1차 탐사에서 나온 표본은 이번 부긴자프 표본의 74% 정도로, 덜 자란 데이노케이루스로 밝혀졌다. 우리는 두 표본을 조합해서 데이노케이루스의 전체 형태를 50년 만에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유는 블랙홀의 표면에 있다고 생각되는, 그리고 블랙홀이라는 천체의 전형적인 특징인 ‘사건의 지평(Event Horizon)’ 때문이다.사건의 지평을 조금 더 설명하면 이렇다. 블랙홀 외부에 있는 우리 입장에서 블랙홀의 안쪽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안쪽이라는 ‘장소’가 실은 무한히 먼 미래라는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였다. 티라노사우루스의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지만 이상한 특징이 있다. 대부분 이빨 대신 딱딱한 부리만 있었던 것이다. 이빨 없는 두개골 때문에 처음에는 식성을 놓고 고생물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그러던 중 위석이 발견돼 초식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 ...
- 밍크고래, 바다로 떠난 사연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고래의 게놈에서 어느 부분에 변이가 일어났는지 찾아낼 수 있다.사람이 대륙별로 특징이 뚜렷하듯, 밍크고래도 지역별로 개성이 강하고 서로 닮지 않았다. 밍크고래 몸에 있는 흰색 얼룩도 각자 약간씩 다르다. 바다에 사는 밍크고래의 총 개체수를 약 70만마리로 보는데, 이들의 다양성이 70억 명의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