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남자가 여자보다 길을 더 잘 찾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자가 여자 ...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수 있지만, 앞으로 이 거리를 10m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
지 ‘네이처 포토닉스’ 온라인판 2015년 12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먼지가 발생한다”고 밝혔다.SLA 프린터로 만든 최종 제품은 과연 얼마나 유독할까.
학술
지 ‘환경과학과 기술’ 2015년 11월 4일자에는 다양한 방식의 3D 프린터로 제작한 물건을 제브라피시(Danio rerio)의 배아에 노출시켜 독성을 시험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doi:10.1021/acs.estlett.5b00249). 3D 프린터로 만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환경호르몬에 많이 노출된 임신부일수록 저체중 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았다(
학술
지 ‘케모스피어’ 온라인판 2012년 9월 16일자). PFC 유해성에 대한 이 같은 지적에 고어텍스 사는 2013년 7월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가 사용하는 짧은 사슬 PFC는 유해성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디톡스 캠페인을 ... ...
[News & Issue]천체물리학저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증보(ApJS)’, ‘천체물리학저널레터(ApJL)’ 역시 천체물리학 분야 최상위급
학술
지로 꼽힌다.그.런.데. 지난해 송유근 군의 논문 표절 사건으로 천체물리학저널은 신뢰도가 추락하는 위기를 맞았다. 일각에서는 “논문이 어떻게 심사를 통과했는지 모르겠다”는 비판이 나올 정도. 현재 편집장인 ... ...
[News & Issue]동면하는 영장류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서식하는 피그미늘보로리스(Nycticebus pygmaeus)가 겨울 동안 동면에 들어간다는 사실을 밝혀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5년 12월 3일자에 발표했다. 피그미늘보로리스는 몸 길이가 20cm, 몸무게가 400g인 야행성 원숭이로,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 서식한다.연구팀은 피그미늘보로리스 5마리의 ... ...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인 것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그런데 12월 1일 그에 대한 반박이 ‘생물학공개
학술
지(bioRxiv)’에 발표됐다. 영국 에든버러대 마크 블락스터 교수팀이 DNA를 다시 분석한 결과 외부에서 온 유전자가 54개로,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이 발표한 6600개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재조명되고 있다는 것이다. 액시온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77년 이휘소 박사를 추모하는
학술
대회에서였다. 이른바 ‘대칭성 깨짐’에 대해 논의하던 학자들 사이에서 스티븐 와인버그와 프랭크 윌첵이 주장한 것이다. 예컨대 대칭성이 있다는 말은 특정한 집합에 있는 원소들을 좌표변환 등의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좋은 관계를 맺고, 활발한 토론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실제로 김 교수가 2015년 11월에
학술
지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한 논문은 같은 학과 송현곤 교수와 같이 연구한 결과다. 2014년 12월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한 결과는 신지영 동의대 교수 등과 함께 한 연구였다. 이런 연구들은 대개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뜨거워지자 리차드 테일러 교수팀은 문제의 그림 24점 중에서 6개를 분석한 결과를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6점의 그림이 기존의 폴락의 그림과 패턴이 다르다는 내용이었다.한 가지 연구 결과만으로 위조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섣부른 일이다. 테일러 교수 역시 작가 한사람이 다양한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