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뉴스
"
고도
"(으)로 총 2,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현존 최강 로켓 ‘팰컨 헤비' 상업발사 시장 첫 데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팰컨 헤비에 탑재된 사우디아라비아의 통신 위성 ‘아랍샛(Arabsat)-6A’는 발사 34분만에
고도
3만6000km 정지궤도에 안착했다. 스페이스X는 팰컨 헤비 발사 뒤 처음으로 블록5 로켓 3기를 모두 회수하는 데도 성공했다. 양 옆의 2기는 발사 8분 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 착륙존에 내려앉았고, ... ...
이스라엘 달 탐사선 베레시트, 달 착륙 실패(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하는 단계를 거쳐 성공적으로 달 궤도 진입한 것이다. 그 후 엔진을 3번 재점화해 200㎞
고도
의 원형 궤도로 진입했다. 베레시트는 11일 달 착륙의 마지막 단계인 소프트 랜딩을 준비했다. 스페이스IL은 11일 "현재 베레시트가 달 표면에서 200㎞ 떨어진 지점에서 궤도를 돌며 소프트 랜딩을 준비하고 ... ...
[속보]민간 무인 달 탐사선 베레시트, 달 착륙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붙잡히도록 하는 단계를 거친 것이다. 그 후 베레시트는 회전을 하며 수직으로 서서히
고도
를 낮추며 하강했다. 달 표면 위 17km까진 성공적으로 접근했지만 오전4시22분 메인 엔진과 관성 측정기에 문제가 발생했다. 오전4시28분 오퍼 도론 스페이스IL 관계자는 "탐사선에 문제가 있었다"며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말아 지하의 방에 옮겨 묻는다. 소똥구리 종류들은 날개를 크게 하고 먹이를 감추는
고도
로 진화된 행동으로 귀한 자원인 똥을 온전하게 차지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모시나비 짝짓기 보편적으로 곤충의 날개는 비행을 위한 기관이지만 비행 이외에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 날개에 ... ...
실명위험 '황반변성'…놓쳐서는 안 될 경고신호
연합뉴스
l
2019.04.10
망막이라는 안구 내 신경층의 중심부로,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빛을 감지하는
고도
의 기능을 가진 광수용체가 이곳에 밀집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황반 부위가 손상돼 시력을 잃는 '황반변성'이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황반변성 환자는 20 ... ...
GPS는 1024주마다 'Y2K' 공포 온다… 6일 美GPS 시간표기 ‘리셋’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위크1’부터 시작하는 셈이다. GPS 위성에는 원자시계가 설치돼 있어 인공위성의
고도
에 따른 중력 차이와 위성 속도에 따른 시간 흐름차이까지도 정확하게 보정, 정교한 시간 정보가 제공된다. GPS 수신기를 통해 정교한 시간 정보를 얻어야 하는 민감한 과학장비가 롤오버로 시간 데이터를 ... ...
日 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에 인공 분화구 생성 성공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터치다운을 시도해 채집하는 방식이다. 하야부사2는 앞으로 약 2주 동안 류구의 20km
고도
로 서서히 상승한다. 이르면 5월 분화구에 다시 터치다운을 시도해 소행성 지하물질 채취에 나설 예정이다. 하야부사2는 47억년 전 태양계 생성시기와 같이 생성된 소행성인 류구의 물질을 수집해 생명의 ... ...
데이터 분석→드론 투입→소화탄 투하…대형산불과 맞선 첨단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힘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소화약제를 멀리 퍼뜨린다. 안에 들어 있는 초음파거리센서가
고도
를 파악해 약 5m 상공에서 소화탄이 폭발하도록 설계했다. 소화탄이 폭발하면 황산암모늄과 인산나트륨이 섞여있는 소화약제가 쏟아지고 미세한 거품도 함께 만들어진다. 20kg짜리 소화탄 하나로 8m 범위의 ... ...
14년 전 그날과 똑같은 악몽, 불티처럼 되살아 났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 한반도로 따뜻한 이동성 고기압이 옮겨오면서 태백산맥 상공에는
고도
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기온이 올라가는 역전층이 형성된다. 이런 경우 태백산맥을 넘는 차가운 서풍이 역전층과 태백산맥 산등성이를 지나가야 하다 보니 공기가 압축되면서 공기 흐름이 빨라진 결과 ... ...
조선시대 문헌에도 기록된 독한 강풍 '양간지풍'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서풍이 형성되면 발생한다. 봄철은 또한
고도
가 높아지면 온도가 떨어지는 것과 달리
고도
가 높아져도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인 역전층을 이동성 고기압이 강하게 형성하게 될 때가 있다. 이때 역전층 아래의 대기는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강풍이 발생한다. 이런 강풍의 기록은 조선시대에도 있다.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