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뉴스
"
규모
"(으)로 총 8,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대 정원 확충?...'응급실 뺑뺑이' 해결 vs 특정 진료과 기피가 더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발생한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건은 정원 확대 논의에 불씨를 키웠다. 국내 최대
규모
병원의 직원이 수술해줄 의사가 없어 뇌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국내 의료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이다. 간호사가 쓰러질 당시 개두술이 가능한 교수 2명 중 한 명은 해외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연구 테마들이 떠오르고 있다. 관련 시장은 2023년 1200억 달러(약 162조 원)가 넘어서는
규모
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양자점을 이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양자점이 특정 암 조직에 붙어 발광하도록 하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차세대 디지털 ... ...
서막 오른 우주인터넷 시대...'유령' 인공위성 우려도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연구팀은 오는 11월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에서 열릴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 대
규모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 계획에 대한 규제를 이끌어야한다고 주장했다. 아마존이 이번 발사를 시행하며 계획했던대로 2026년 7월까지 인공위성 절반을 발사하지 않을 시 할당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회수한다는 ... ...
코로나 이후 인류의 응전...바이러스 변이 미리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가장 최근에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대
규모
접종은 대중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백신 개량이 원할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접종과 관련해선 어떤 바이러스 변이까지 ... ...
금속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 발사...지구핵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13일(현지시간) 오전 10시 19분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의 최대
규모
로켓인 ‘펠컨 헤비’에 실린 프시케 탐사선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소행성 프시케와 같은 이름이 붙은 탐사선 프시케는 6년간 소행성 프시케를 향해 항해하게 된다. 프시케 탐사선은 발사 한 시간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질환 정복하려면 ‘뇌세포 연구’가 먼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중개의학’에 뇌 관련 연구들이 대거 실렸기 때문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대
규모
뇌 연구 프로그램(BICCN)에 참여한 과학자 258명이 진행한 논문들이 실렸다. 이번 주 사이언스 및 계열 학술지는 총 21편으로 이뤄진 뇌 연구 모음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사람의 뇌에는 860억 개의 신경세포(뉴런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개구리·도룡뇽 살 곳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통해 멸종 위기에 처했던 일부 종에서 회생의 기미가 보이곤 있긴 하지만, 좀 더 큰
규모
의 투자가 빠르게 이뤄져야 현재의 멸종 흐름을 뒤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포경 규제로 늘어난 회색고래, 기후변화로 또 다시 감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얼어 생긴 얼음)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기후 변화로 해빙이 녹으면서
규모
가 줄어들면서 고래 폐사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회색고래가 좋아하는 칼로리가 풍부한 해저 갑각류는 바다를 덮고 있는 해빙의 영향을 받는다. 해빙이 바다 덮개 역할을 하면 해저 갑각류의 ... ...
역대 최대
규모
'뇌 세포 지도' 공개...뇌 기능, 분자 단위로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사이언스가 이번에 대거 공개한 논문들은 지난 2017년 시작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대
규모
뇌 연구 프로그램(BICCN)의 결과물이다. 45개 기관 258명의 과학자가 BICCN에 참여해 인간 뇌의 신경세포(뉴런)와 시냅스 연구를 위해 최신 분자생물학 기술을 적용했다. 분자생물학은 분자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 ...
암컷 개구리, 수컷과 짝짓기 피하려고 죽은 척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강인하고 생존력이 뛰어난 수컷과 교미를 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번 연구가 소
규모
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연구의 신빙성을 더하려면 더 큰 표본 크기가 필요하다. 실험실 상자와 달리 실제 세계에서는 암컷이 도망칠 수 있는 공간이 많다는 점에서도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 하지만 연구팀은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