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승
승전
전승
자손
후손
후예
뉴스
"
후속
"(으)로 총 1,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술을 버리고 과학에 취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04.06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우수과학도서,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권장도서로 선정됐으며
후속
편 ‘사이언스 소믈리에’ 역시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 우수과학도서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런 강 작가의 세 번째 책, ‘과학을 취하다 과학에 취하다(부제: 강석기의 과학카페 Season3)’를 내놓은 것이다.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
과학동아
l
2014.04.04
중성미자 검출기 ‘리노(RENO)’를 설치하고 중성미자의 비밀을 찾고 있다. 그는 “리노
후속
모델인 고성능 차세대 중성미자 검출기 ‘리노-50’을 건설해 중성미자 3개의 질량을 순서대로 찾는 일부터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일본은 가속기를 이용해, 중국은 2020년 차세대 중성미자 ... ...
'반쪽 금속'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4.01
보인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기소자가 갖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후속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
과학동아
l
2014.03.31
신경세포가 특정 조건과 형태의 기판 위에서 더 빨리 자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후속
연구를 통해 기판 표면의 물리적 구조가 세포 발달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낸 것. 연구팀은 실리카(이산화규소)로 수 백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슬을 만들고 이를 이어붙인 신경세포 ... ...
34년을 건너… ‘코스모스’ 美 사로잡다
동아일보
l
2014.03.11
언론들은 첫 방송 전부터 사전 리뷰 기사를 쏟아냈다. 워싱턴포스트(WP)는 9일자에서 “
후속
편은 비평가와 작가들에게 원작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며 최초의 유인우주왕복선 발사를 앞둔 1980년대 당시에 원작이 던진 문화적 충격과 타이밍을 상기시켰다. 폭스TV는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이날 ... ...
1년 내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위키미디어 제공 앞으로 1년 내에 어떤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집단이 유행할지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됐다. 인플루엔자 백신 ... “다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게놈 전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태양흑점 폭발…군부대 단파통신 장비 장애
동아일보
l
2014.02.27
약 1시간 동안 장애기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으며, 태양입자 유입 및 지자기 교란 등의
후속
영향 발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태양흑점의 폭발 관련 등급은, 태양에서 흑점이 폭발할 경우 미국 위성 및 세계 여러 곳에 배치된 관측 장비의 측정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등급이 ... ...
‘친환경-고성능車’ 아니면 명함도 못 내민다
동아일보
l
2014.02.27
타입 R’ 콘셉트카를 공개한다. 슈퍼카도 빠질 수 없다. 람보르기니는 ‘가야르도’의
후속
모델인 ‘우라칸 LP 610-4’를 선보인다. 페라리는 터보차저를 탑재한 ‘캘리포니아 T’를 공개할 계획이다. 자동차 시장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전망은 1월 열린 북미국제오토쇼에서도 감지됐다. 지난해 미국 ... ...
'유령입자' 드디어 정체 드러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일본 중성미자 검출기 '슈퍼-카미오칸데 - 도쿄대 제공 지난해 말 남극 빙하 속에 만들어진 세계 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아이스큐브’에서 중성미자 28개를 ...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성미자의 상호작용 효과가 얼마나 큰지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 ...
DNA 나노필름 한 장으로 '암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달라진다는 말이다. 홍 교수는 “DNA 나노필름을 이용한 스마트 항암제 전달체 개발 등
후속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기존 약물 전달체나 의료기기에도 접목할 수 있어 응용범위가 넓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