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수학동아 l2012년 02호
- 특별 처방전!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용어에 대한 뜻이 애매~한 것들이 있죠. 수학 공부의 기본은 용어를 자신만의 언어로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음에 주어진 두 종류의 용어 설명을 비교해 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자유롭게 생각해 보세요. 물론 나만의 언어로 용어를 정리하다 보면 설명이 ... ...
- '톡톡ʼ스마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이용하기에 좋아. 뉴스와 전자책, 동영상, 음악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건 기본이지.그러니 스마트패드에 푹 빠지지 않을 수 없었을 거야. 스마트패드 시대를 연 디지털 ‘터치’스마트패드가 노트북과 크게 다른 건 터치스크린이야. 터치 기술은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 바로 단순한 ... ...
- 수학적으로 완벽한 거품이 있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함께 등주문제를 만족시키는 거품 모양을 찾았다. 14면체 3쌍과 12면체 1쌍이 결합해 이룬 기본 도형이 반복되는 구조로, 이를 ‘웨이어-펠란 구조’라고 한다. 이후 웨이어 박사팀은 웨이어-펠란 구조를 비누 거품으로 재현하기 위해 특별한 그릇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릇에 거품을 부었을 때 1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가장 큰 만족감을비용편익 분석은 들이는 돈(비용)과 만족감(편익)을 비교하는 것이 기본 원리다. 사람들은 살면서 무의식적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하고 있다. 추운 겨울날 주머니에 1000원이 있다고 하자. 가게에 들어가 몸을 녹이기 위해 따끈따끈한 호빵과 코코아차 중 하나를 고를 때 비용편익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이것은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했을 때, 단 한 가지 형태로 나타나야 한다는 산술의 기본정리에 어긋나는 것이다. 따라서 1은 소수가 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그렇다면 자연수 중에 소수는 몇 개나 있을까? 자연수가 무한히 많은 수들로 이루어져 있듯, 소수의 개수도 무한하다. 이 사실에 대한 증명은 ...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난 해 11월 15일, 서울과 인천, 구리, 수원, 안양 등지에서 200여 차례 빈 집을 털었던 범인이 잡혔다. 최첨단 기계로 무장하고 있을 것이란 예상과 달 ... 열쇠를 넣어도 안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의 가장 첫 번째 구멍에 들어가는 핀도 기본형으로 해야 열쇠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것을 할 수 없다. 후회하지 않으려면 당장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정하지 못했더라도 기본적으로 성적은 유지해 놓자. 다행히 K군은 성적이 나쁜 편은 아니다. 인문계 고등학교 진학은 무난하다.“올해 3학년이 되는구나. 내년엔 고등학생이 되는데 단지 고등학교만 생각하지는 마. 지금 네가 무엇을 ...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금속연구원이 되는 것이다. 합금을 만드는 분야에 관심이 많다. 현종 군은 “모든 산업의 기본은 물질의 소재라고 생각한다”며 “재료에 대한 지식을 쌓아서 실생활에 쓰는 재료를 개발해 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합금분야는 발전가능성이 크다. 제 5대 국새에도 금 합금이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현재 물리학의 최대 난제 중 하나다.일부 물리학자들은 우주가 물질을 편애하는 이유를 기본입자의 모양으로 설명하려 했다. 예를 들어 전자가 찌그러진 모양을 하고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그러면 전자의 전하 분포도 고르지 못해서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고 결국 ...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기본적인 기구의 움직임을 통해 원리를 이해하고 공구를 다루는 법을 손에 익힌다. 기본기를 탄탄히 익힌 뒤 요트 만들기, 열기구 만들기를 할 수 있다.20년을 지켜온 선생님과 학생들의 열정자항연은 1992년에 탄생했다. 올해로 탄생 20년을 맞는다. 1991년 구기복 선생님의 열정에서 탄생한 ‘고등학생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