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비용이 아주 많이 난다면 의미가 없다.그런데 이제 그런 걱정이 사라졌다. 3D프린터★ 덕분이다. 3D프린터는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가장 아래부터 얇게 한 장씩 쌓아 올리는 ‘적층 가공’ 방식으로 물체를 만든다. 아주 얇은 종이를 쌓아서 물체의 형태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쉽다. 그래서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거예요. 스마트폰 하나면 검색부터 예약, 결제까지 모든 걸 할 수 있잖아요. 컴퓨터 덕분인데요, 그거 아나요? 컴퓨터의 원조가 바로 계산기예요. 이번 호에서는 사칙연산뿐만 아니라 거듭제곱과 삼각함수도 되는 공학용 계산기를 만들면서 계산기의 역사도 함께 살펴볼 거예요.컴퓨터 발명으로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독특한 성 결정 체계가 있다(이 용어가 낯선 독자는 뒤에 자세히 소개하니 기다리시라). 덕분에 암컷 일개미는 친자식보다 여왕 어머니가 낳은 친자매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 그래서 번식을 포기한 채 평생 어린 여동생들을 위해 일만 하다 죽는 불임성 일꾼 계급이 진화했다고 해밀턴은 제안했다.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화석에 들어 있는 납이나 탄소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덕분이랍니다.같은 원소라도 원자의 질량이 다른 것을 ‘동위원소’라고 해요. 동위원소 중 자연 상태에서 방사선을 내놓으며 안정된 상태로 붕괴되는 것을 ‘방사성동위원소’라고 하지요. 방사성 동위원소의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되면서 화제가 됐다. 어려운 개념을 돌파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국내외 최고의 전문가들 덕분이었다. 올해도 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 분야의 국내 최고 석학에게 상세한 해설 기사를 청해 실었다. 아무리 신문 기사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이번 기획을 찬찬히 보시라 권하고 싶다.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받았다. 물론 지역 주민들의 승낙도 중요했다. 비킹 부사장은 “분명한 가이드라인 덕분에 파셀콥터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 전체의 온라인 유통시장에 전문적인 드론 배송 솔루션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떤 근육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관절이 어디에 있는지 무의식 중에 알려준다. 덕분에 우리가 눈으로 근육과 관절의 위치를 알지 못해도 원하는 대로 자세를 취하거나 마음대로 움직이면서도 다치지 않는 것이다. 어렸을 때 누구나 한번쯤은 ‘나에게도 초능력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만 오른쪽으로 넘어지고 말았어요. 바닥에 머리를 부딪혀 열 바늘이나 꿰맸어요. 덕분에 엄마에게 잔소리를 엄청 들었죠.안전모를 쓰는 건 정말 귀찮은데, 꼭 써야 하나요? 어린이 안전사고 2위는 자전거 사고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많이 볼 수 있는데, 안전모까지 착용하고 타는 사람은 보기가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먼저 채굴을 보자. 1960년대 이후 개발된 강력한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쉴드 TBM’은 암석을 부수고 파편을 외부로 배출하며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는 것까지 자동으로 한다. 사람은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 2007년 9월 영국 생명과학과 로빈 던바 교수팀은 유인원이 긴밀한 사회적 관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연구 결과도 내놨다(DOI: 10.1126/science.1145463). 유인원은 친구와 가족을 많이 만들었고, 사회적 관계가 밀접해질수록 주고받는 정보도 늘어났다. 결국 뇌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져 대뇌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