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대학에서도 이 사실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험 날짜를 방학 중으로 미루는 것이다. 모든 학과가 다 이런 것은 아니다. 경영, 경제 관련 학과와 산업공학과는 방학이 되면 온전히 쉰다. 물론 나름대로 학기 중에 치열하게 시험공부를 하고, 방학에는 인턴십을 하는 학생들도 있다. 그러나 방학 때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군집 위성으로, ‘편대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 랍니다. 지금 활동 중인 모든 군집 위성들은 ‘앞으로 나란히’ 비행해요. 그런데 스나이프 위성은 ‘앞 으로 나란히’ 대형을 2개월 정도 유지한 뒤, ‘옆으로 나란히’ 대형으로 바꿀 계획이랍니다. 지구와 600km 떨어진 우주에서 불과 ...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몇 번째에서 멈추는 것이 가장 좋을지 묻는 ‘최적 멈춤’ 문제예요. 제한 조건이 없다면 모든 칸을 확인한 뒤 가장 깨끗한 칸을 선택하면 되겠지만 한번 지나온 칸으로 절대 돌아갈 수 없어 무작정 끝까지 열어보다가는 지나온 칸보다 나쁜 칸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겠죠? 반대로 너무 빨리 ...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예측할 수 있도록 여러 함수를 연결한 일종의 ‘합성함수’라고 할 수 있어요. 사실 모든 공학적인 문제는 수학 문제라고 할 수 있답니다. 문제를 이해하고 그 문제를 나타내는 수학 모형을 만든 뒤에 그걸 풀면 되거든요. 수학 전공자가 갖는 강점은 뭔가요?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를 대하는 ...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개를 빼고 모든 자릿수를 더한 값에서 가장 가까우면서 그보다 큰 수를 찾으면 원래 수의 모든 자릿수를 더한 값이죠. 따라서 그 값에서 처음 더한 값을 빼면 숨긴 수가 나오는 거예요.단 더한 값이 9의 배수면 숨긴 숫자가 0 또는 9이므로 ‘숨긴 수가 0인가요?’라고 묻고, 아니라면 ‘그러면 9구나 ... ...
- [퍼즐라이프] 합체는 동시에! 공동 이동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모든 조각을 동시에 움직여 결합해야 하죠. 3개의 조각을 동시에 결합하려면 그림②처럼 모든 조각이 한 점을 향해 움직여야 하는데, 그러면 맞닿는 가장자리가 서로 비스듬하게 움직여 일치하지 않을 것처럼 보입니다. 이렇게 움직여도 결합할 수 있을까요? 벡터로 분석한 공동 이동 퍼즐세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우선 문제에서 핵심적인 조건과 구해야 하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시도해보는 것이 좋아요. 문제를 낼 때는 자기 주변에 있는 것으로 소재를 정하고 창의적인 방법을 생각하다 보면 좋은 문제를 낼 수 있어요. Q 폴리매스의 매력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결과적으로 ROBOT 보드에는 총 4명의 멤버가, AI 보드에는 총 3명의 멤버가 보드별 모든 프로그램을 이수했습니다. 이들 7명은 각 어드바이저가 수여하는 수료증도 받았습니다. 2학기 사이언스 보드에서는 더 많은 멤버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해볼게요! 153명 │ 사이언스 보드 공지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탐사에서 한국과 UAE는 어떤 관계인가? 지금의 경제를 일군 한국은 우주 탐사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UAE의 롤모델이다. 한국은 짧은 기간에 우주 탐사 기술과 역량을 확보했다. 공부하고 일했던 7년의 한국 생활이 개인적으로는 일생일대의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배운 효율적인 ...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전자(입자)의 파동성을 처음 주장했는데, 이를 기술한 식이 논문에 등장하는 ‘λ=h/p’다. 모든 입자가 플랑크 상수(h)를 입자의 운동량(p)으로 나눈 값은 파장(λ)의 특성을 갖는다는 뜻이다.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다는 이중성은 지금은 교과서에 실릴 만큼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