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데니소바인 화석 찾기 프로젝트인 ‘파인더(FINDER)’를 진행하고 있다. 첨단 연구
방법
을 동원해 아시아에서 데니소바인을 찾는 프로젝트로 2017년 시작돼 2022년까지 이어진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카테리나 도우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데니소바인은 현대 고인류학에서 가장 ... ...
[수학뉴스] 삼성호암상 과학상에 필즈상 유력 후보 허준이 교수 선정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그래프에서 이웃한 꼭짓점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때 n개 이하의 색만 써서 칠하는
방법
의 수를 나타낸 식을 말하죠. 2012년 당시 허준이 미국 미시간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은 45년 묵은 이 난제를 해결해 ‘미국수학회저널’에 공개했습니다.허 교수는 독일의 수학자 카림 아디프라지토와 미국 ... ...
[특집] 확률 알면 빠르고 정확한 답변 찾는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AI가 문제를 확인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확률적
방법
이 적용된 알고리듬이 작동해 검색 공간을 축소하거나 답안의 불확실성을 낮춥니다. 여기에 미분의 기법까지 결합하면 최적화된 답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이때 확장성과 창의성을 갖는 AI의 알고리듬을 짜려면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때문이죠. 이렇게 영지식 증명은 제3자에게 어떤 사실도 들키지 않고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입니다. 위그더슨 교수는 모든 수학적 증명은 영지식 증명이 가능하도록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두 교수의 아들들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존재할 확률을 연구하는 ‘확률 조합론’과 어떤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성질과 그래프의 성질을 통합해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이에요. 이를 연구한 논문에 적힌
방법
들을 검토하다 보니 박사과정 때 풀어야 할 문제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랭크 너비에서도 재미있는 결과를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1991년에 제기된 제제의 추측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당시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NGS)이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전장유전체 연구는 인류유전학의 핵심
방법
론으로 자리 잡았다.고유전체 연구로 본 동아시아인의 주요 계통201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해진 현대인에 대한 고유전체 연구는 동아시아인 진화사의 핵심 요소를 밝혀내는 데 기여했다. 베이징 인근의 톈위안 동굴에서 발견된 ... ...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학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과학의 힘으로 진실을 찾는 사람이 바로 법과학자입니다.”정희선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 석좌교수는 법과학자로서 사명감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국립과학수사 ... 계속해서 키우길 바란다”며 “멘토를 두고 자신의 꿈을 향해 한 단계씩 밟아 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
”이라고 말했다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교수는 “현재까지 텍스트 데이터는 학습속도를 수십~수백 배 높이고, 정확도도 다른
방법
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에 올랐다”며 “다만 이미지 데이터의 학습 정확도는 5% 정도 격차가 있고, 음성 데이터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김 교수팀은 이미지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뤄져야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는 “사진은 문화재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쉽고 흔한
방법
”이라며 “문화재 사진작가를 양성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기증을 통해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문화재 사진작가팀’이 생기길 꿈꿔 본다”고 말했다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개체 수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십 년은 생태계가 적응하기엔 너무 짧은 기간여러
방법
으로 대처하고 있지만, 일단 들어온 침입종을 생태계에서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1998년 최초로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은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생태계를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