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를 건강하게! 숲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향기를 맡을 수 있어. 이 향기가 바로 숲의 첫 번째 선물이란다. 선물의 정체는 피톤치드!
식물
이 자신에게 침입하는 각종 세균을 죽이기 위해 내놓는 화학물질을 통틀어 피톤치드라고 해. 피톤치드는 주로 테르펜이라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데, 바로 이 테르펜이 숲 속의 상쾌한 향기를 만들어 ... ...
멍게로 근육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기술이 근육을 다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셀룰로오스 :
식물
이나 조류의 세포막을 이루는 주요 성분으로, 섬유소라고도 한다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돌며 인공중력을 만들어 낸다.➋ 온도와 습도를 맞춘 투명한 원형 비닐하우스 안에서
식물
을 재배하는 모습.➌ 모래폭풍에 덮여버린 건물에서 모래를 퍼내는 모습. 화성의 낮은 중력 때문에 조금만 바람이 불어도 도시가 순식간에 모래 속에 잠겨버릴것이라는 상상력에서 출발했다.다들 기대 ... ...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들어 있는 집기병은 곰팡이 등의 잡균을 막기 위해 완전히 밀폐된다. 그렇더라도 밤에
식물
의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보충되기 때문에 집기병 속의 공기가 부족해지지 않는다.소중한 나물르 지켜라!숲을 만들고, 나무를 가꾸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하지만 나무는 소리 없이 우리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용인 성지중 1년)우리가 살고 있는우주는 각의 세계우주의 지구도지구의 건물도동물도
식물
도지금 읽고 있는 수학동아도모두 각을 가지고 있네각은 수학책에서만 나오는 줄 알았더니우리 바로 옆에도 있네각은 우리의 친구작품평 | 정다니엘 학생의 ‘우주는 각의 세계’는 상상공간이 매우 크고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달려 있어 잘 보이지 않거나 아예 없기도 한다.
식물
조직을 먹고 사는 애벌레들은
식물
을 타고 다녀야 하므로 안정된 자세가 필요하고 그래서 대부분 8쌍의 다리를 가졌다.그러나 바쁘게 돌아다니다 천적에게 발각되느니 차라리 나뭇가지처럼 위장하려는 자나방 애벌레들은 가슴다리 이외에 필요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화산도 만들며 다양한 지각활동을 공부했다. 수업이 끝나면 전주 자연생태박물관에 가
식물
과 동물의 표본을 직접 관찰한다.여기는 전북 익산시에 있는 백제초등학교. 지난해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펼친 ‘대학생 과학나눔’ 현장이다. 대학생 과학나눔은 대학생 봉사단이 과학을 체험할 기회가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선택해서 쏘고 받을 수 있다. 각 편파마다 반사되는 특성이 달라 이들 정보를 분석하면
식물
및 나무의 성장상태 및 종류, 지표의 수분함유 정도 등도 알아낼 수 있다.밀고 당기고 원하는 대로 찍는다광학위성은 여러 방향으로 영상을 찍기 위해서 우주공간에서 여러 가지 자세로 바꿔가며 촬영을 ... ...
담배 속 ‘이소시안산’, 대기 중에서 검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새로 개발한 첨단 질량 분석계로 이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이 질량 분석계는
식물
이 탈 때 나오는 유기산을 측정하게 설계한 것으로, 특히 이소시안산을 잘 검출할 수 있다.연구팀은 실험실 안에 불을 피워놓고 실험한 결과 높은 농도의 이소시안산을 검출했다. 이 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오글로빈’의 구조도 알아냈다. 그는 더 크고 복잡한 구조도 풀어보기로 했다.
식물
의 엽록체는 여러 단백질로 구성된다. 게다가 엽록체의 구성 요소는 두 겹으로 싸인 막에 들어 있어 꺼내 보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후버 소장은 많은 시행착오 끝에 결국 광합성 분자의 구조를 풀어냈다. 이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