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설명이 불가능한 갑작스런 아이의 죽음' 유아돌연사. 사후 부검을 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이 증후군이 잠잘 때의 자세와 관계가 깊다는 보고가 나왔다.얼굴을 바닥에 대고 엎드려 자는 아이들에게서 누워 자는 아이들에 비해 영아 돌연사(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가 더 많이 일어난다는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물범의 번식지는 베링해입니다. 물고기가 많으니까 여기에 모일 것입니다.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백령도를 개발할 때 이러한 생태계의 현황을 참고 ... 좋은 학습의 장이 된다고 확신합니다. 이러한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고, 주최측인 동아
일보
와 후원한 쌍용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
해안선의 형태가 해일에 큰 영향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난 7월 12일 일본 호카이도 서쪽 오쿠지리섬 연안에서 일어난 해일은 섬의 지형에 의해 더 격렬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일은 곶이 바다쪽으로 튀어나와 파도를 잡아당길 때 발생할 수 있다.도쿄대 지진연구소의 소세이 아베교수에 따르면 곶의 해변에 닥친 파도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얕 ... ...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개인용 컴퓨터 같은 소형 기종에 의한 분산처리환경인 다운사이징은 90년대 컴퓨터 환경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고 있다.공룡은 왜 지구상에서 사라졌을까? 공룡 멸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쥐라기 이후 운석의 충돌로 닥쳐온 '핵겨울'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 ... ...
교과진도에 맞춘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난 8월20일 1차 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됐다. 대학입시의 변화는 교육과정 혁신으로 직결된다. 단편적 암기력 측정에서 사고력 탐구력을 측정하는 경향으로 바뀐 대학입시는 주입식 학습보다 경험 위주의 폭넓은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추어, 「과학동아」는 지난 5월부터 교과진도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적혈구 막에 포함된 프로틴 겔 등도 2차원 폴리머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겔은 세포 골격에 유연성을 주고 형태 전환에 영향을 준다. 폴리머(polymer)화학이 새시대에 들어섰다. 지금까지 폴리머라 하면 동일구조의 분자, 즉 모노머(monomer)가 상호결합하여 1차원 사슬을 형성하는 것이었지만, 이번에 ... ...
일본 '하이비전' 고립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일본의 아날로그 전송방식 하이비전은 오는 97년, 미국의 디지털 전송 ATV는 2008년에 본방송이 시작될 예정이다. 2000년대의 초두 국제 산업경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차세대 TV를 놓고, 세계를 제패하려던 일본의 야심이 좌절 위기에 몰렸다. 지난 70년부터 HDTV 개발에 들어가 이 분 ... ...
우주토마토 국내에서 첫 재배 실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제까지의 우주생물 실험 중 가장 오랫동안 우주공간에 노출됐던 토마토 씨앗이 국내에 입수돼 내년부터 전국 2백여 초중고등학교에서 재배실험에 들어간다. 우주공간에서 6년을 보낸 토마토 씨앗이 국내에 입수돼 본격적인 재배실험에 들어간다. 한국우주소년단에서는 NASA(미국항공우주국)의 ... ...
인텔리전트 겔 개발 인공근육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모든 공업제품은 대부분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생물체의 몸은 그렇지 않다. 유연하고 습기가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말랑말랑하면서 습기가 있는 겔은 기술자가 취급하기 어려운 소재이지만 많은 가능성을 가진 것만은 틀림없다.겔은 온도 pH 전기 ... ...
북극성이 변광을 멈춘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북극성은 '움직이지 않는 별'의 상징으로 문학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항상 북쪽 하늘에 위치가 고정돼 있기 때문이다. 북극성은 2등성의 밝은 별과 푸르스름한 9등성의 반성(伴星)으로 이루어진 2중성이다. 밝은 별은 약 4일의 주기로 밝기가 변화한다. 캐나다 터론토 대학의 천문팀은 이 변광이 내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