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신비한 빛기둥들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달빛뿐만 아니라 도시나 자동차의 불빛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인공조명이 반사되면 자연조명보다도 더 밝은 빛을 낸답니다. 또 얼음 결정이 클수록 선명한 빛깔을 그리죠. 이러한 빛기둥은 주로 높은 위도에 있는 노르웨이나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와 캐나다에서 자주 발생해요. ...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뼈화석과 그 속에 숨어 있는 공룡들의 사냥 이야기를 들려 줄게요.국립과천과학관 2층 자연사관에 가면 육식공룡만큼 거대한 초식공룡 뼈화석을 만날 수 있어요. 주인공은 에드몬토사우루스예요.에드몬토사우루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6600만 년 전~7300만 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이에요. ...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살 곳도, 먹을 것도 없어요~!털매머드는 약 1만 년 전 대부분 멸종했어요. 큰덩치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 전체를 호령하던 털매머드들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익만 보지 않는다. 자연과 공생하는 법을 경험으로 배우고 몸소 실천한다. 안타깝게도 자연 친화적인 한국 고유의 문화유산인 해녀의 수가 일이 고되고 사회적 인식이 낮은 탓에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해녀 문화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깊은 지역인 사우스켄싱턴에 있습니다. 세계적인 공과대학중 하나인 임페리얼대학교와 자연사박물관, 빅토리아&앨버트박물관이 함께 자리하고 있는 런던 과학 문화의 중심지입니다.Q 런던 과학박물관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1857년 사우스켄싱턴 박물관의 일부로 생겼어요. 1909년 런던 ... ...
- Part 2. 왜 그때는 몰라줬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무한은 단지 표현방식일 뿐 수학에서 다룰 수 없다고 말했으니까요.저는 홀수, 자연수, 유리수같이 끝이 없는 수 집합의 크기에 관심이 많았어요. 끝이 없는 수 집합은 크기가 모두 같아 보이지만, 제 생각은 달랐어요. 끝이 없는 두 집합의 원소를 하나씩 끈으로 이어 짝지었을 때, 남는 원소 없이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무슨 우리가 시뮬레이션 게임에 놀아나는 사람들인 것처럼 그러더니. 요즘 시대에 이런 자연주의자 없다고. 뒤에서 왜 혼자 호박씨야. 너도 유미 보고 싶었던 거잖아. 정훈의 어깨를 두드리며 장난치는 손들 사이로 유미의 목소리가 다시 들렸다.“정훈이는 나한테도 유미 아니라 그래. 어제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러나 이 사실을 (굳이) 논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임현의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장은 “비단 소프트로봇만의 문제는 아니다”라며 “예를 들어 최근 인공피부에 대한 논문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데, 이를 시연할 때 고성능 컴퓨터나, 기본 가격이 1000만 원 이상인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생물학적 영생’이라고 불러요. 생물학적 영생이란 어떤 생명체가 늙어서 죽는 ‘자연사’를 하지 않는 걸 말해요. 따라서 사고가 나거나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지 않는다면 영원히 살 수 있다고 보고 있지요.그렇다면 바닷가재는 평생 죽지 않고 살 수 있을까요? 바닷가재를 비롯한 갑각류는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팀이 만든 향에서는 모든 분자가 똑같은 양만큼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자연에서 들리는 편안한 잡음인 백색소음에 착안해 이 냄새에 ‘백색냄새’라는 이름을 붙였다(DOI:10.1073/pnas.1208110109).이 연구 결과는 하나의 냄새를 다른 하나, 또는 여러개의 냄새로 지워버릴 수도 있다는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