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포함하고 있다. 윔프를 잡는 것은 그야말로 매우 어렵기 그지없다. 이들 동위원소를
제거
하는 것은 화학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그래서 물리학자들은 화학도 열심히 배워야 한다. 이제야 윔프 탐색을 시작할 수 있다.드물고 작은 신호를 찾는 방법도 어려운데 배경을 줄이는일 까지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제거
하는지 밝히려고 한다. 왜냐하면 아직까지는 어떤 미생물이 어떤 반응을 해서 인이
제거
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교수는 “최근에 인을 먹는 미생물을 찾아냈어요. 그리고 그 미생물 사진까지 찍었어요.이제 그 놈만 따로 키울 수 있으면 아주 좋겠는데 그게 잘 ...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차이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과학은 오류를 하나씩
제거
해나가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과학은 오류를 토대로 번성하는 것이다. 가설이 세워지지만, 언제나 반박될 수 있다. 계속 등장하는 대안적 가설들은 실험과 관찰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사이비과학은 이와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러나 칸다 팀의 연구는 발 냄새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을 밝혀냄으로써 발 냄새를
제거
할 수 있는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한 연구다.어디에 쓰는 연구인고?세번째 유형은 ‘이런 연구는 해서 뭐하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엉뚱한 상상력’형이다. 영국 ... ...
현대의학에 동원되는 극약 성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톡신의 아세틸콜린 분비 차단 작용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이런 치료 작용과 주름살
제거
작용은 장기간 지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정기간 후에 다시 반복 투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이 독소의 주사가 통증이 매우 심한 것도 문제다. 일부 환자에서는 이 독소에 대해 체내에서 항체가 형성돼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생산하는 미생물의 대사흐름 특성을 파악해 필요한 효소를 증폭하고 불필요한 효소를
제거
함으로써 수십배의 생산량 증가를 이뤄낸 연구가 좋은 예다. 또한 자연적으로는 생산되지 않거나 효율이 낮게 생산되는 단백질과 생물고분자를 고효율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예들도 많이 있다. 필자의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선천적 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불편함과 부적절감을 느끼며 자신의 1차 및 2차 성징을
제거
하고 상대 성징을 획득하려는 집착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한다. 풀어 설명하면 남성이나 여성의 신체를 지니고 태어났지만 자신을 반대 성의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을 가리킨다. 쉽게 하리수를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수 있다. 그리고 특별히 흔들리는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은 다른 모든 빛들의 절반을
제거
하는 효과도 있다. 편광렌즈의 선글라스를 사용하는 어부들은 수면의 번쩍거림이 없어지므로, 좀더 먼거리에 있는 물속의 고기떼를 볼 수 있다.그러나 대개 비싼 편광 선글라스를 이용하는 이는 많지 않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신 발명품으로 괴생명체의 모습을 감지할 수 있게 된 레지스탕즈는 조금씩 적들을
제거
해 나가지만, 이미 지구의 모든 부분을 점령한 괴생명체를 감당할 수 없게 된다.한편, 지구에 나타난 에일리언들을 연구해 나가던 여성 과학자 아키는 에일리언들의 언어코드를 깰 수 있는 방법을 밝혀내고 ... ...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 잘 익은 수박 만드는 유전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개발하고 있다. 선별된 식물세포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만 특수한 화학물질로
제거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연구실은 과일의 당도를 증진시키는 연구에서부터 선발표지유전자를 갖지 않는 형질전환식물 연구까지 식물에 관한 최첨단 생명공학을 이끌고 있다. 정원일 교수를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