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언
제의
제안
제사그릇
예기
d라이브러리
"
제기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리고 모든 개발도상국을 CFC소비규제에서 예외로 한 것에 대해서 많은 이론이
제기
되고 있다. 예컨대 전세계적 조직을 갖고있는 환경단체인 '지구의 벗'은 CFC를 완벽하게 대신하는 대체품의 개발을 통해 10년내 CFC방출을 전면적으로 중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오존구멍을 막는 협약에 구멍이 ... ...
사망률 통계에 할 말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결코 아니다. 다만 발표내용이 사실과 다르기 때문에 지적하는 것일 뿐"이라며 아마도 경
제기
획원이 보건전문가의 검토가 없는가운데 형식적인 통계치만 갖고 공표한데서 빚어진 현상일 것으로 진단했다. -사망률통계의 문제점과 관련해서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전체국민의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위에서 연역적으로 이론을 전개하여 사회현상과 대조한다. 그리하여 이해못할 문제가
제기
될 때는 다시 가설을 검토해 나간다. 나는 요즘 젊었을 때의 논리적인 지성이 나이와 더불어 쇠약해져감을 의식한다. 하지만 그만큼 철이 들어감을 인식하고 있다. 수학에서 출발한 나의 지적 모험은, 세월과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 질량은 지구의 0.23%밖에 되지 않았다. 처음에 태양계의 또 다른 새행성 존재문제가
제기
된것은 해왕성의 궤도가 무엇엔가 어지럽히고 있다는 사실이 계기가 되어서 였다. 그것이 명왕성과 같이 적은 질량으로는 해왕성의 궤도가 꿈쩍도 하지않을 것이라는 것도 새 행성을 찾는 실마리가 되었다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그러나 국내 소비자단체들은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안전성여부에 대한 의문을
제기
하기 시작했다. ■ 무연휘발유시대의 개막환경청은 환경보존법을 개정. 자동차 배출가스기준을 강화함으로써 87년 7월부터 출고되는 포니엑셀 프레스토 르망 프라이드 그랜저등 5종의 승용차에는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일부이다. '자동화가 진전되면 과연 일자리를 빼앗길 것인가'하는 문제는 어느곳에서나
제기
되는 문제이다. 실제로 자동화의 과정은 노동이 자본으로 대체되는 과정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노동과 자본의 대체탄력성이다. 즉 임금율이 단위자본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면 자동화가 많이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등을 견학한 것이다. 그러나 이 해외산업체 견학을 둘러싸고 학생들이 이의를
제기
하고 있다. 올해 참여한 42명은 2학년 전체학생 2백67명의 15.7%에 불과한 극히 저조한 참여율이라는 것이다. 이런 저조한 참여율로는 선진국의 산업시설과 제도를 살펴보고 기능대학 학생들의 자질을 향상시킨다는 ... ...
오존층 파괴 방지조약 체결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뚫리고 이대로 가다가는 지상의 생명이 멸절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지난해부터 심각히
제기
되기 시작했다.일부 국가의 정부에서도 '오존층 파괴는 핵전쟁보다도 무섭다'는 인식이 깊어지기 시작, 드디어 지난 9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49개국 대표가 모여 오존층보호에 관한 조약에 서명했다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결정을 내리게 된다.재미있는 것은 명문화된 규정에 따라 최종 수상자의 선정과정에서
제기
된 어떤 의견이나 어떤 투표결과도 문서나 기록으로 남길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결정된 노벨상 수상자들은 노벨의 기일(忌日)인 12월 10일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국왕에 의해서 노벨상을 수여받게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우선 그곳에서 인체가 얼마나 적응할 것인가가 당면한 과제로
제기
되고 있다. 달의 하루는 지구시간으로 27.3일. 낮과 밤이 약 14일간이나 계속되는 셈이다. 따라서 인체의 생활리듬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또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안되는 것도 힘들이지 않고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