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는 효과적인 커리큘럼이라고 소개했다.“전공과목을 모두 듣는다고 기초가 튼튼해
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전공이 아닌 다른 과목을 여러 개 듣는 게 기초를 다지는 데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우리 학교는 12과목의 법칙이라고 해서 전공과목 12개(36학점)를 초과해 듣는 수업에 대해서는 졸업인정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제 1 코스 없애도 계속 살아나는 끈질긴 숫자 지난해 ‘내 여자 친구는 구미호’ 란 드라마가 인기를 얻으며 방영됐다. 이때 등장한 구미호는 꼬리가9개 ... 미만으로 숫자가 채워져 있을 경우에도 답이 딱 1가지가 나올 수 있는지는 아직까지 밝혀
지지
않았다.제 4 코스 9개의 점을 지나는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겁니다.그럼 홀수 진법에서는 답이 어떻게 달라지고 풀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 궁금해
지지
않나요? 예를 들어 오진법에서라면, 25개의 패턴 중에서 17개가 제자리를 지키는 것이 최대일까요? 이것의 해결은 여러분에게 남겨둘게요고봉균 선생님의 풀이위에 제시한 배열 방법에서 십의 자리가 짝수인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동한다. 왼쪽 노를 젓는 선수들과 오른쪽 노를 젓는 선수들의 힘이 정확히 맞아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수학과 물리학에서는 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벡터로 표현한다. 힘의 크기 못지않게 방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250회 저어 2000m를 이동할 경우 1회에 방향이 5°틀어지면 배의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눈과 귀를 집중하다보니 비행기로 10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그곳이 더 이상 멀게 느껴
지지
않는다”며 “한국으로 여행이나 어학연수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류의 뜨거운 열기는 앞으로도 리듬을 타고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흡수한 물이나 잎에서 만든 양분을 운반하는 통로인 물관과 체관, 그리고 식물체의 몸을
지지
해주는 조직을 말한다. 그래서 조류는 육상식물에 비해 몸체가 아주 약하다. 파래는 녹색 셀로판지처럼 하늘하늘하다. 미역은 물결에 따라 이리저리 흔들린다. 조류는 사는 곳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강, ... ...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성운이 수축하면서 태양과 행성과 소행성, 혜성 등이 만들어질 때 어느 천체에도 뭉쳐
지지
않았던 티끌들이 지금까지 태양 주위에 남았다. 황도광은 워낙 작아 잘 보이지 않던 이 티끌들이 태양빛이 사라지면서 밤하늘이 어두워지는 절묘한 시점에 빛을 발하는 현상이다. 동이 트기 전에는 해가 뜰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샤워를 해보는 건 어떨까. 자신을 너무 몰아붙이지도 말고 그렇다고 지나치게 느슨해
지지
도 않는 자세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나온다. 우리의 뇌는 안정되고 여유로운 시간 속에서 좌우 균형을 이루며 원활히 작동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곤충은 약 130만 종에 이르며, 전체 동물의 약 70%를 차지한다. 과학자들은 아직 밝혀
지지
않은 곤충이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곤충학자에 따르면 전세계의 개미 체중을 합하면 인간의 100배가 된다고 한다.3. 정답 ④곤충은 고생대 무렵인 지금으로부터 약 4억 년 전, 인류보다 훨씬 먼저 지구에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때 하품이 나온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하지만 하품이 나오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답니다. 한편, 옆에 있는 친구가 하품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따라한 경험이 모두 있을 거예요. 하품이 전염되는 걸까요?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고든 갤럽 박사는 대학생 44명에게 하품하는 장면이 담긴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