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생
부활
갱생
부흥
신생
재건
회복
뉴스
"
재생
"(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집에서 프린터로 질병 진단 칩 인쇄~ 끝!
과학동아
l
2014.04.22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가정용 잉크젯 프린터에 자체 개발한 ‘전도성 잉크’를 채워
재생
용지에 칩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심지어 외국의 유명 잡지(TIME) 종이에 칩을 만들 수도 있었다. 이 칩은 쓰임새에 따라 회로를 바꾸기만 하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검출이 가능하고 1회용 분석 ... ...
뼈를 만드는 성분은 칼슘일까요, 단백질일까요?
과학동아
l
2014.04.16
우리 몸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은 200개 이상의 크고 작은 뼈가 근육과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일부 뼈는 뇌나 폐, 심장 등 주요 장기를 감싸고 보호하는 역할까지 한다 ... 최신 강연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골형성 단백질(BMP2)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손상뼈
재생
- 한국연구재단 ... ...
日 이화학연구소 “STAP 세포 논문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14.04.01
곤란하다”고 답했다. 조사위는 오보카타 연구주임을 지도한 이화학연구소 발생
재생
과학종합연구센터 사사이 요시키 부센터장과 논문 공동저자인 일본 야마나시대 와카야마 데루히코 교수에게는 “연구부정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사위는 “논문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지 않은 만큼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
과학동아
l
2014.03.31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실리카 구슬로 만든 기판의 거친 표면 굴곡이 신경세포를
재생
시키는 단백질 ‘액틴’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최인성 KAIST 교수는 “신경세포 성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신경보철 등을 만들 때는 물론 화학, 의공학, 전자공학 등 ... ...
4대 메가 트렌드에 주목하면 미래 기계산업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4.03.24
감소함에 따라 에너지패권이 미국 등 북미지역으로 상당부분 옮겨갈 걸로 보인다. 또 신
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에 따라 관련 부품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호 기계연 전략연구실장은 “국내 기계산업은 2000년대 이후 급격히 성장해왔으나 최근 둔화되고 있어 기계 산업이 ... ...
구글의 웨어러블 1호는 ‘스마트 시계’
동아일보
l
2014.03.20
“구글, OK”라고 말한 뒤 목소리로 원하는 내용을 말하면 검색 및 메시지 입력, 음악
재생
등이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웨어는 센서 연동을 통해 이용자의 운동량 및 심박수 측정도 지원한다. 또 ‘구글 나우’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와 활동 패턴을 추적하고 ‘주변 레스토랑 쿠폰’ 등 사용자가 ... ...
국내 기술로 풍력발전 안전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14.03.17
CMS)의 상태감시·고장진단 알고리즘을 토대로 개발한 ‘CMS 감시기술’이 신
재생
에너지 분야의 대표적 안전검사 인증기관인 독일선급협회로부터 상태 감시자 인증을 취득한 것. 풍력발전기는 예기치 못한 고장으로 운전을 멈출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발전기에는 CMS를 반드시 설치해 ... ...
좀 더 깨끗하고 선명하게...화질 전쟁 뒤에 숨은 수학
수학동아
l
2014.03.14
보내오는 초당 60프레임의 영상을 초당 120개나 240개의 프레임으로 변환해줘야 한다. 초당
재생
프레임이 많을수록 영상은 더 자연스럽고 생생해진다. 초당 프레임 수 변환을 위해선 ‘광학 흐름’이란 수학기법이 쓰인다. 방정식의 원리를 응용한 광학 흐름 기법은 앞뒤 프레임을 참고해 그 ... ...
나노섬유로 세포 배양해 손상 조직 치료
과학동아
l
2014.03.12
세포를 생체조직과 유사하게 배양하는 세포배양기술을 소개하고, 세포칩과 조직칩, 조직
재생
용 세포배양 구조체 등의 활용 분야를 살펴볼 예정이다. 이에 앞서 부산과학기술협의회 황현주 교사는 ‘찌릿 찌릿~ 통할까?’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 ...
연구자 이력보다 연구 성과 집중 검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90명이 넘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유전학자이자 세포 생물학자인 너스 경은 세포
재생
이 통제되는 방법과 CDK1이라는 효소의 존재를 밝힌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지금도 세포 형성과 분화를 연구하고 있는 그의 취미는 오토바이. 노벨상 상금으로 영국제 명품 오토바이를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