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뉴스
"
가장
"(으)로 총 16,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① 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있는 ‘오픈 액세스’ 같은 게재 방식도 생겼다”면서도 “그럼에도 여전히 과학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논문 게재 학술지는 사이언스와 네이처, 셀 같은 유명 학술지”라고 말했다. 미국 과학사를 전공한 박범순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사이언스는 사기업인 네이처보다 보편적인 ... ...
머신 1대가 車공장 1개
동아일보
l
2013.10.10
설립 당시부터 자동차업체가 아닌 레이싱팀 ‘스쿠데리아 페라리’로 시작한 만큼 F1과
가장
밀접한 성향을 가진 도로주행용 차를 만든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국 맥라렌과 로터스도 F1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카를 개발해 온 레이싱 명가(名家)들이다. ○ 6억 명이 보는 글로벌 스포츠 F1은 자동차 기술 ... ...
“빅데이터는 자원… SNS는 새로운 생산라인”
동아일보
l
2013.10.10
도시 등 여러 분야를 혁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장벽이 사라진 투명한 공간의 정보를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공해 활용하는 기업만이 승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런 시대에는 사람들의 소셜네트워크 또한 새로운 생산라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BM은 최근 빅데이터와 ... ...
노벨물리학상 발표 1시간 넘게 연기된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교수와 구랄니크 교수, 하겐 교수는 공동연구결과를 역시 같은 해 11월에 발표했다.
가장
늦게 연구결과를 발표한 세 명의 교수의 연구에 대해서는 힉스 입자와 관련한 이론을 실질적으로 구체화했다는 평가가 있기는 하지만, 연구 발표 시점이 뒤쳐진 것이 문제가 돼 아쉽게 수상의 영광을 하지 ... ...
[에디터칼럼] 한글과 노벨상
2013.10.09
수상 후보자 여럿을 보유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학 대중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그 중 하나가 바로 언어다. 생활과학이라는 말도 있지만, 과학은 대중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 일상을 설명하는 다른 방식이고 용어다. 이 때문에 대중이 과학에 좀 더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4
과학동아
l
2013.10.09
불안정해진다는 한계도 남아 있다. 누가 연구 계속 주도할까 힉스를 발견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연구 시설은 LHC다. LHC는 앞으로도 활약을 계속할까. 암흑물질과 초대칭이론 등을 암시한 발표문에서 알 수 있듯, LHC는 연구 분야를 넓히며 더 활약할 것이다. 힉스 자체의 특성을 밝히는 일도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3
과학동아
l
2013.10.09
상호작용을 한다. 그런데 그 세기는 입자의 질량에 비례한다. 즉 질량이 큰 입자와
가장
상호작용을 세게 한다. 하지만 힉스 입자의 질량은 얼마인지 예상하기 어렵다. 그래서 찾기 어려웠다. 이 질량이 양성자 정도인지, 양성자 질량의 1/100인지, 100배인지 1000배인지 전혀 알 길이 없었다. 술래잡기를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2
과학동아
l
2013.10.09
개의 기본 입자 가운데 유일하게 발견되지 않은 입자였다. 이번 관측을 통해 인류가 가진
가장
정교한 이론 중 하나가 더욱 완성에 가까워졌다는 의미는 있다. ※ 위 기사는 과학동아 2012년 8월호에 수록된 기사 입니다 ... ...
노벨물리학상 ‘신의 입자’ 힉스
2013.10.09
실험을 하면서 그 존재가 비로소 입증됐다.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마침내 현대물리학의
가장
정교한 이론인 표준모형이 완성됐다. 힉스 입자라는 용어는 재미 물리학자인 고 이휘소 박사가 1972년 미국에서 열린 고에너지물리학회에서 처음 사용했다. 앙글레르 교수는 1964년 유명 물리학 저널인 ... ...
컴퓨터 가상세포로 '백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08
고성능바이오컴퓨팅팀 선임연구원은 “생명 정보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가장
큰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라며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가상세포 서비스가 많은 생명과학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상세포의 구축 및 활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 ...
이전
1561
1562
1563
1564
1565
1566
1567
1568
1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