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과거
태고
예전
옛적
d라이브러리
"
지난날
"(으)로 총 1,878건 검색되었습니다.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땅은 하얀 눈으로 뒤덮여 있고, 까만 밤하늘은 별들로 뒤덮여 있어, 외로이 우주를 바라보는 내가 더욱더 작아지는 느낌이 드는 때다. 새해 첫날 내가 혼자가 아님을 알려주며 세상의 모든빛을 평정하면서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며 한해를 설계해보자.돌아온 엥케혜성다시 돌아온 엥케 혜성이 이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01
삽살개는 다른 한국개 및 외국개 품종들과 주성분 분석에서 잘 분리됐다. 이는 외적 형태 크기 체형 비율에서 삽살개가 고유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싸움터에 삽살개를 데리고 다녔다는 김유신장군의 이야기나 중국 구화산에서 성불했다는 신라왕손 김교각스님의 일대기중에 ... ...
근시교정 엑시머레이저 수술
과학동아
l
199401
엑시머레이저 수술은 일정 범위내 근시환자의 시력을 향상시켜주는 수술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 시력이 안정된 사람의 경우에만 시술을 받을 수 있으며 수술후 부작용 등에 대한 임상례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최근 근시를 간단한 수술로 고치는 엑시머레이저 수술이 국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01
카오스란 보통사람들이 이해하듯이 완전히 무질서한 혼란상태가 아니라, 무질서해보이는 비예측성 속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물리학자 조셉 포드에 따르면 지금 넓은 영역에 걸쳐 과학의 혁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큰 갈래 중 하나가 이른바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 연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12
항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인간복제 논쟁. 불임치료를 위해 연구됐다는 인간 배자복제의 과학적 원리는 무엇이고 앞으로 전망은 어떻게 되나.지난 10월 24일 전해진 미국 연구진의 인간 배자(胚子) 복제 성공 소식은 생명공학이 드디어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실험실에서 다루었다는 점에서 과학의 윤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12
카오스와 퍼지 등 첨단과학이론을 채용한 응용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얼마만큼 충실히 이 이론들을 채택하고 있는가? 기존제품과는 어느 정도 성능의 차이가 있는가.새로운 이론이 탄생하고(이론이 아니라 기술적 성과라고 해도 마찬 가지임) 그 이론이 인간의 실생활에 응용되기 위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12
시대의 요청인 환경보호에 컴퓨터계도 예외는 아니다. 올 한해 하드웨어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그린 PC'가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올해 초 각 컴퓨터 전문잡지에는 개인용 컴퓨터 제품 사진과 함께 '우리회사는 그린 컴퓨터를 만듭니다'라는 문구의 광고가 게재돼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12
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리온 성운에서부터 히아데스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살핀 후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가슴 속 깊이 아로새겨보자.12월은 1년중 밤이 가장 긴 달이므로 하룻밤을 새운다면 우리가 볼수 있는 밤하늘의 88% 정도를 하루에 관측 할 수 있다.초저녁 서쪽하늘의 여름철 별자리에 위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12
포구주변의 모래사장은 겉으로 기름의 흔적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삽으로 파내려 가자 기름은 수 ㎝ 아래에 검은층을 이루며 침투해 있었다. 깨끗해 보이던 표층의 모래도 30㎝ 아래의 모래에 비하면 검은 빛깔을 띄고 있었다.지난 9월 27일 밤 7시 20분경. 전남 광양만에서 선박 충돌사고가 발생했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10
인간이 언어를 다루는 곳은 두뇌 중에서도 왼쪽 뇌 표면 부분의 5mm 두께밖에 되지 않는 뇌피질이다.언어는 다른 동물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다. 언어가 없었다면 우리가 오늘날 향유하는 문화가 불가능하였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그 언어는 정상적인 사람이라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