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가 남긴 선물,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생각으로 직접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개념을 충분히 이해한 뒤, 개념을 부분적으로 변형하거나 확장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탐구해 보세요.사실 수학 지식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수학으로 생각하는 과정은 꼭 ... ...
- 수학을 사랑한 과학동아리 회장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훑어만 보고 바로 문제풀이 훈련을 하는 친구들과 달리 항상 내용 공부를 우선시했다. “개념 정의나 정리를 이끌어내고 증명하는 것이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그런 부분을 많이 봤어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기억에 더 오래 남아요. 문제도 스스로 끝까지 풀죠.” 과학동아리에서 수학을?! ... ...
-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오타 혹은 오답이 종종 나옵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교재를 너무 맹신해서 잘못된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배우는 학생입장에서 틀린 부분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교재가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이상한 내용을 찾거나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다르게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수치(정보 엔트로피)를 비교했다. 정보 엔트로피는 1940년대 정보이론학자 섀넌이 만든 개념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대상의 불확정성 정도를 수치화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던지면, 동전에 하자가 있는 게 아닌 이상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올 가능성이 반반(50%)이 될 것이다(둘 중 뭐가 나올지 모르니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고찰한다. 같은 작가의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아카넷)은 지질학에서 시간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밝힌다. 창조과학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을 보려면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부키)와 ‘무신예찬’(현암사), ‘현실, 그 가슴 뛰는 마법’(김영사)을 보자. 과학자와 인문학자, ... ...
- 황금의 수, 18수학동아 l2012년 11호
- 8K와 같은 표기를 볼 수 있다. ‘aK’는 그 물건의 금의 함량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분수의 개념이 들어 있다. 전체 무게에서 차지하는 금의 함량을 24를 분모로 하는 분수로 나타냈을 때, ‘a/24’이면 이것을 ‘aK’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a가 24에 가까울수록 순금에 가깝다.한편, K는 금의 순도를 ... ...
-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르매트르와 허블이 우주팽창을 관측을 통해 밝힌 후,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우주상수 개념이 필요없어진 것을 깨닫고 곧 폐기하게 된다. 그 때가 1929년이다. 그런데, 68년이 지난 1997년에 이 우주상수가 임혜경부활하게 된다. 슈미트-리스 그룹과 펄머터 그룹은 동시에 우주 멀리에 있는 초신성들을 ...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도서관에서 개념 없이 떠드는 얄미운 커플이 있다면? 점심시간 종이 친 지 오래인데 수업을 안 끝내시는 선생님이 있다면? 일본 카즈타카 쿠리하라 박사팀이 만든 ‘스피치 재머’를 사용해보자(이후 결과는 책임지지 않는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수다쟁이를 조준하고 스피치 재머를 켜기만 하면 ...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주변에 존재하는 물질과 결합해 원래 물체를 완벽하게 재구성한다. 이런 순간이동 개념은 ‘스타트렉’ 같은 SF에서도 단골소재로 등장했다.양자 전송도 양자의 순간이동이라는 점에서 영화에 나오는 순간이동에 자주 비유돼 왔다. 그러나 사실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양자 전송은 순간이동과 다르다. ... ...
- KMO, 전격 해부! 이렇게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지식도 전반적인 개념의 이해 속에 녹여 넣지 않으면 나중에는 쉽게 잊힌다. 둘째, 어떤 개념이나 문제를 풀고 자신이 푼 방법이 최선의 방법인지 고민해 보는 자세다. 어려운 문제를 운 좋게 풀었어도 자신의 풀이방법이 가장 적합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알고 있는 지식과 문제 해결방법을 각각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