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남택진 교수팀은 신속하게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음압병동을 개발해
발표
했어요. 음압병동은 ‘음압(negative pressure)’이라는 이름처럼 병실 안의 기압을 주변보다 낮게 만든 특수 시설이에요. 병실 안쪽을 항상 저기압으로 유지해 오염된 공기가 밖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지요. 공기가 ... ...
[수학뉴스] 코로나19 보호 장비 부족 게임 이론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지난해 4월 영국 BBC 방송은 일부 의료진이 의료용 폐기물 봉투와 스키용 고글을 쓰고 일하는 모습을 보도했습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마스크, 안면보 ... 데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2월 1일자에
발표
됐습니다.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금성 대기에 미생물의 존재를 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연구가
발표
되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분석 결과가 잘못됐다는 논문이 나왔습니다. doi: 10.1051/0004-6361/202039717 포스핀을 발견한 그리브스 교수팀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천문대(JCMT)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IEEE)가 주장하는 ‘윤리원칙에 일치하는 디자인(ethically aligned design)’ 개념이나, 최근
발표
된 유네스코(UNESCO)의 AI 윤리 권고 초안이 강조하는 윤리적 영향평가 개념이 그 기반이 될 것이다.결국 기억해야 할 것은 AI가 단순히 공학자만이 만드는 기술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윤리적 공감대를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세포에서 단백질을 분석해 제작한 인간의 단백체 지도 초안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김 교수팀은 단백체 지도를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몇 가지 사실을 확인했다. 유전자와 염기서열이 비슷하지만 단백질을 만드는 기능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위유전자(pseudogene)’ 일부가 실제로는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제니퍼 호열 컷힐 박사팀은 대멸종과 새로운 종의 탄생엔 인과관계가 없다고
발표
했어요. 연구팀은 대멸종과 새로운 종이 나타난 시기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화석종과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시기를 학습시켰어요. 같은 시기에 ... ...
[수학뉴스] 선박 이동 경로 최적화해 탄소 배출량 줄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선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8년 기준 자동차 배출량의 약 86% 정도입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 2030년까지 전 세계 선박의 평균 탄소 배출량을 20 ...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해양과학공학저널’ 1월 25일자에
발표
됐습니다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엔씨소프트는 2018년에는 딥러닝을 사용해 점점 더 실력이 높아지는 ‘비무 AI’를
발표
했어. 무한의 탑 속 AI의 경우 이용자의 실력에 맞춰 학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패턴을 알아차릴 수 있지만, 비무 AI는 딥러닝을 통한 심층 학습으로 움직임이나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떤 규칙성도 없지. 다시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736년 오일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으로 평가 받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을
발표
하면서 π를 넣었고, 이를 통해 π가 학계에서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수백 번째 자릿수까지 구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끊이질 않는 가운데, 아르키메데스의 다각형법으로 극한의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957년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이래 2020년 11월 15일까지 1만 93개(유엔 우주사무국
발표
)에 이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수많은 인공위성이 어떻게 지구로 떨어지거나 부딪히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걸까요?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 수 있는 이유는?국제우주정거장(ISS)처럼 사람을 태우고 지구 주위를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