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실제로 그런 곳은 많지 않아요. 서로 원하는 게 다르니 힘이 들거든요. 공학자는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게 중요하지만, 디자이너는 예쁘고 편하게 만드는 게 중요하죠. 하지만 기술이 완성된 후에야 디자이너가 참여하면 포기해야 하는 것들이 생겨요. 중요한 부품이나 칩이 들어가야 하는 곳을 예쁜 ...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연구 의욕을 잃고 있다”며 “지방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우수 연구 인력이 양성되고, 새로운 연구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 이 교수는 “이공계 졸업생들이 전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안정적인 일자리 환경이 필요하다”며 “과학계 전반에 고급 일자리 창출이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것이다.이런 한계 때문에 태양전지는 고분자 유기물질이나 페로브스카이트와 같은 새로운 물질을 사용해 태양전지의 형태를 다양화하거나 생산 비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받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태양전지를 겹겹이 쌓는 방식도 개발됐지만, 이 방식은 개발 비용이 ...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왔을 때 대부분이 선택하는 내과, 외과 등이 아닌 직업환경의학(당시 산업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했다. 직업환경의학은 직업병, 환경성 질환, 독성학, 질병역학, 보건통계학, 사회과학, 임상의학 등이 모두 융합된 분야로, 지금은 꽤 인기가 높지만 당시에는 대표적인 비인기과였다. 그렇게 ... ...
- [독일유학일기] 단체 활동의 ‘무덤’인 독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활동에 경제적 부담은 없다. 비록 나는 실패했지만, 본인과 잘 맞는 동아리에 들어가면 새로운 분야에서 또 다른 취미를 찾을 수도 있고, 외국인 친구들을 사귀기도 훨씬 수월하다. 단, 독일 대학에서 동아리에 가입하고 싶다면 발품을 팔아 잘 찾아보는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나에게 맞는 동아리인지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네트워크 이론과 BTS의 영향력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자주 보여 왔다. 이번 CONNECT, BTS 프로젝트는 그 시도의 새로운 형태다.멤버 7명이 완전히 새로운 인연을 맺음으로써 생기는 연결 고리는 어떻게 퍼져나갈까? SNS에서 활발히 소통하는 방탄소년단은 전세계 팬들과 어떻게 이어지고 있을까? 이 모든 것은 ‘네트워크 이론’으로 살펴볼 수 있다 ... ...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학생들이 진짜 자신의 문제로 공감할 수 있도록 말이죠.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새로운 걸 배울 때 ‘생각 열기’라고 해서 ‘~해봅시다’라는 말로 시작하는데 어떤 학생들은 ‘하기 싫은데요~’라고 해요. 그럴 수 있죠. 관련도 없는 문제를 왜 고민해보고 싶겠어요. 그러니 자기가 실제로 처할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일어난 18세기 말이나 핵실험과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했던 1950년대로 꼽히고 있지요. 새로운 지질시대로 정의해야 할 만큼 인간 때문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다는 거예요.지난 2018년 영국 레이스터대학교 지질학 캐리스 베넷교수는 닭이 지금 시대의 지표화석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어요. 이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연구했습니다. 전자기학을 정립한 제임스 맥스웰은 여러 색을 칠한 팽이를 빨리 돌리면 새로운 색이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물감을 섞을수록 검은색이 되는 색채 혼합 원리도 밝혀냈습니다. 쇠라의 그림에는 이런 색채과학이 녹아 있습니다.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식용 곤충을 총 10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방 과장은 “식용 곤충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곤충을 식용으로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식용 곤충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없애는 인식 개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용 곤충 선정 결과 1등은 ‘쌍별귀뚜라미’전 세계에는 곤충이 약 13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