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많은 곁가지 주제를 가진 대주제입니다. 그 중에서 수리생물학은 아직까진 미미한
수준
이죠. 하지만 수학은 생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수학은 생물학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구면에 가까운 매끄러운 돔까지 단계별로 만들어 보면서 체험 행사에 가장 적합한
수준
을 찾았다.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쉬운 설명서와 친절한 지도 덕분에 어린 친구들도 재미있게 지오데식 돔을 만들 수 있었다. 입학하기도 전에 파이의 축제 부스에 다녀갔다는 1학년 박민정 학생이 입을 열었다.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꺾지는 못햇습니다. 타르탈리아는 번역된 고대 그리스 수학책의 오류를 잡아내고, 최고
수준
의 산술서를 쓸 만큼 훌륭한 수학자로 성장했습니다.1535년 어느날 타르탈리아에게 베네치아의 젊은 수학자 안토니오 피오르가 도전장을 내밉니다. 피오르가 제시한 대결 종목은 3차방정식 풀기. 피오르는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로봇을 이용한 가상현실체험 관련 특허가 여럿 있다”고 말한다. “모두 실험실
수준
의 연구들입니다. 보통 상용화보다 20년쯤 앞서 특허가 나오지요. 레이 커즈와일도 미국에서 출원된 특허를 보고, 여기에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해 ‘나노봇 가상현실’을 예측했을 것입니다.” 이 교수는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곳곳이 거미줄처럼 연결되면서 전염병 모델도 복잡해졌다. 사람 손으로 계산할 수 없는
수준
에 다다른 것이다. ‘SEIR 모델’ 같은 전염병 확산모델은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재탄생했다. 질병에 따라 전염 특성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종류도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홍역이나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하이청 을 강타했다. 도시를 크게 파괴시킬 수 있는 큰 규모 였지만 인명피해를 2000명
수준
으로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 중국은 탕산 지역에 규모 7.6의 대지진 을 다시 겪었다. 탕산 지역에는 하이청 지역에 나타났 던 전조현상이 단 하나도 없었다. 결과적으로 도시 전 체가 붕괴했고 사망자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의 성과였다. 이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율은 실리콘과 비슷한
수준
까지 도달했다. 추세만 따지면 조만간 실리콘의 효율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가격도 실리콘보다 3분의 1 가량 저렴하다. 실리콘이 처음으로 제대로 된 적수를 만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의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따르면 실재감은 7가지 효과를 일으킨다. 가상현실 저널리즘에서처럼 각성을 일으켜 반응
수준
을 높이며, 사람에게 즐거움이나 흥미를 느끼게 하고, 기억을 증가시킨다. 또 콘텐츠가 주는 메시지의 설득력을 높인다. 미 육군의 사례처럼 작업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기술을 빨리 배우 게도 한다. 반면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준
이다. 헐크 같은 괴물을 만드는 것은 자동차를 개조해 트랜스포머를 만드는
수준
에 비유 할 수 있다. 아직은 갈 길이 멀다.현실적으로 크리스퍼로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기능 을 아는 유전체 내의 유전자 몇 개의 기능을 없애고 잘못된 부분을 수선하는 정도다. 이마저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3회나 발생했다. 지진 관측 사상 최다 기록으로 예년의 2배
수준
이었다. 지진은 지난해 49차례로 다시 줄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은 가시질 않고 있다. 대지진의 여파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분석 때문이다.1.고개방향 따라 달라지는 소리우리는 귓바퀴가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