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해물질 감지하는 컬러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광주과학기술원 송영민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이 유해물질을 감지하면 색이 변하는 센서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바이러스 ‘M13박테리오파지’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해, 벤젠이나 아세톤 같은 유기화합물이나 환경호르몬에 반응하도록 만들었어요. 이후 가로세로 수 cm 면적의 ... ...
- [만화뉴스] ‘겨땀’ 냄새의 원인을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영국 요크대학교 미생물학과 개빈 토머스 교수팀은 액취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효소 물질을 발견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어요.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으로, 겨드랑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땀을 분해해 악취를 내는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나타나요.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 ... ...
-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지질행성과학과 제러드 리드베터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망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사는 세균을 발견했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러한 미생물이 존재할 거라고 예측했지만, 실제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재미있게도 이번 발견은 우연한 상황에서 일어났습니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고래상어는 어류 중 가장 몸집이 큰 동물이에요. 열대 및 따뜻한 기후의 바다 전역에서 발견되며,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죠. 평균 몸길이는 10m 정도이며, 2001년에는 아라비아해에서 무려 19m에 달하는 고래상어가 발견되기도 했답니다. 고래처럼 몸집이 큰 상어라서 ‘고래상어’라 ... ...
- [기획] 사실 매력 덩어리? 대벌레 대백과사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독자 기자들이 요리에 높은 집중력과 호기심을 보여줘서 새삼 놀랐습니다. 요리할 때 어린이들이 보여준 섬세함과 적극성, 호기심이 음식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친구들이 요리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많은 경험을 쌓길 응원하겠습니다 ... ...
- [BOOK소리]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수다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어과동에서 연재됐던 ‘생생 양자역학’을 엮은 책 1, 2권이 지난 달 출간됐어요. ‘고전역학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양자역학을 알려주지?’ 무모한 도전처럼 여겨지던 이 만화는 2015년 인기리에 막을 내렸어요. 책 출간을 기념하며 당시 담당 기자였던 김정 편집장과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서울시 은평구 봉산 해맞이공원에 대벌레가 떼로 나타났습니다. 나무나 정자에 붙어있던 대벌레가 사람들의 머리나 어깨로 떨어지기도 하고, 벤치나 운동기구를 점령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뉴스가 연일 이어졌어요. 그 현장에 나간 어과동 기자를 연결해 보았습니다. 함께 보시죠! 대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구에서 낮과 밤, 그리고 계절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태A양 때문이에요. 지구는 365일에 한 바퀴씩 태양 주변을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어요. 한편, 23.5° 기운 자전축을 중심으로 24시간에 한 번 자전하지요. 지구에선 바로 이 공전에 의해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고, 자전에 의해서 밤낮의 변화가 생 ... ...
- [썰렁홈즈] 좀비 대장, '주근줄 아라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