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결국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가 오랫동안 생존하면서 능력을 키워나가고
진화
해갈 수 있는 바탕이 돼버린 셈이다.안타깝게도 이들을 변화시킬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소시오패스는 자신이 내리는 결정이나 일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이 세상을 사는 방식에 아무 잘못이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다. 또 국내 최초로 실시된
진화
론 관련 설문조사 결과와 국내외 종교계 대표들의
진화
론에 대한 입장을 담았다.이 책은 두 이론 중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다만 독자들이 스스로 인간의 근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도록 큰 숙제를 남겼다.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증식이 목적이다. 컴퓨터 바이러스 - 명확한 실체물이 없다. -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 -
진화
하지 않는다(변형 바이러스라고 해도 그자체도 프로그래밍된 것이다). - 컴퓨터 장애가 목적이다. 화학 Q1. [민감성, 정교성] 화성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으로 붉은색을 띤다. 화성의 표면적은 지구의 1/4 ,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람 사이의 거래나 계약이 성립될 수 없다”며 “인류가 공동생활을 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고 공동체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정함에 대한 욕구는 더 강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집단 규모와 경제 시스템의 규모가 위와 같은 실험에서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주장에 따르면 회색이었던 후추나방은 살아남기 위해 몸 색깔이 검어지는 방향으로
진화
했다. 산업혁명 때 환경이 급격히 오염되면서 나무껍질에서 자라는 하얀 이끼가 죽거나 검은 오염 물질이 나무에 붙어버렸다. 더 이상 회색 후추나방이 몸을 숨길 수가 없었으며, 포식자인 새에게 잘 띄어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9세기 말 영국의 산업혁명으로 대기오염이 급증했다. 나무를 덮은 이끼가 죽으면서 어두운 나무껍질이 드러나자 나방의 날개색도 짙어졌다. 이처럼 배경색과 비슷한 ... “깃털 이도 원래는 몸 색깔이 짙었을 텐데 밝은 깃털에 기생하면서 밝은 쪽으로
진화
한 걸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마이크로 RNA가 없다. 따라서 마이크로RNA를 통한 조절 메커니즘은 진핵생물의
진화
과정에서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왜 어떤 유전자는 mRNA를 거쳐 단백질이 되고 어떤 유전자는 전사체가 대부분 잘려 나가고 고작 20여 개 길이인 마이크로RNA가 될까. 세포 안에서 마이크로RNA가 어떻게 ... ...
190만 년 전 인류‘ 세디바’발 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9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인류가 발견됐어요. 새로 발견된 인류는 4월 둘째 주 사이언스지의 표지모델도 됐답니다. 이런 과거의 인류를 ‘호미니드’라 ... 계산됐지요. 과학자들은 세디바를 통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현생인류가 어떻게
진화
해 왔는지 밝혀낼 계획이에요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우주에 있는 별의 무리인 성단이나 아름다운 성운, 은하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진화
하는지 연구하는 데 쓰인답니다. ▲ 1.8m 망원경의 모습. 낮에는 관측하지 않아서 덮개를 덮어 놓았다.또 다른 재미, 천문과학관!우리는 1.8m 도약망원경을 보고 천문학자들이 망원경에 들어오는 별빛을 관찰하고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문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생기면서 그 역할이 척수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목이
진화
하면서 뇌뿐 아니라 척수도
진화
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 27일자에 실렸다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