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어떤 동물은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해서 조금만 변해도 죽어버리곤 합니다. 코알라처럼
특정
먹이만 먹는 동물도 있고요. 육식동물은 다른 동물을 잡아먹고 살아야 하지요. 무엇보다도 전 세계에 있는 동물을 어떻게 다 모을 수 있었다는 걸까요? 남극까지 가서 펭귄을 데려왔을까요? 이에 대한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몰라도 오랫동안 반복되는 습관, 의지가 반영 된 행동이라면 훨씬 더 복잡할 것이다.
특정
행동에 대 한 신경회로나 신경다발 등을 건드리거나, 중독 현상과 관련 있는 쾌락 부위를 자극해 원하는 행동을 갈망하게 만들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행동에 거부감이 들지 않 으려면 기억이나 감정 부위도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다소 실망스럽다. 이처럼 선거 방법이 원천적으로 완벽하지 못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특정
선거 방법에 의해 1등을 한 사람은 불완전하고 잠정적인 당선자일 뿐이다. 따라서 당선자는 조금 더 겸손한 마음을 갖고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다수의 의견에 귀를 여는 대승적인 화합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됩니다. 나노포어 기술은 나노 단위의 막을 이용해서 물질의 정보를 분석하는 거예요.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아주 얇은 고체로 된 막인 멤브레인을 사용합니다. 물속에서 멤브레인에 10nm 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만 열어놓고 전기장을 걸면 DNA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두께 1.5nm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측량 원리의 핵심은 ‘삼각형’그렇다면 전국에 무려 30000개나 있는 기준점으로 어떻게
특정
한 위치의 높이나 위치를 재는 걸까? 알고 있는 기준점의 정보를 통해 모르는 곳의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의 핵심 원리는 바로 ‘삼각측량’이다. 그리고 삼각측량에는 ‘삼각형’의 성질이 들어 있다.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것이다. 이어서 1996년에는 독일의 수학자 페트라 군멜트가 한 가지 ‘장식된’ 십각형을
특정
한 겹침 규칙에 따라 결합하면 펜로즈 타일링을 만들 수 있음을 증명했다. 두 십각형은 장식 가운데 음영 부분만 겹친다면 서로 겹쳐도 된다.실제로 물질 속 원자들이 각각 떨어져 있는 경우는 드물다.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것을 ‘Yeast-2-hybridization’이라는 방법을 이용해 밝혀냈다. 이로서 꽃식물의 진화 초기에
특정
유전자(예를 들어 꽃잎과 수술을 만들어내는 기능)가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했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꽃식물의 진화 초기에 많은 실패를 동반한 시도들(trial and error)이 진행된 것이고, 진정쌍떡잎식물에 ... ...
썩소라도 웃는 게 보약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하는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이런 짜증나는 과제들을 하는 동안 참가자들에게
특정
표정을 요구했다. 첫 번째 그룹은 눈과 입 근육을 모두 움직여서 우리가 기쁠 때 짓는 진짜 미소를 짓게 했다. 두 번째 그룹은 눈은 웃지 않고 입만 조금 웃는 의례적인 미소를 짓게 했다. 나머지는 ... ...
수학자 뇌엔 수학공식이 예술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신경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했다”며 “후속 연구에서
특정
수식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신신경과학(Frontiers of Humem Neuroscience)’ 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망각 조절 단백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무사시 단백질이 뇌 시냅스를 안정시키는
특정
분자를 방해해 망각한다고 설명했다.스테탁 교수는 “무사시 단백질의 균형이 깨지면 기억과 관련된 질병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같은 뇌 신경 질환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