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발달해 있다. 먹이를 씹을 때 윗이빨과 아래 이빨이 마주치면서 이빨이
한쪽
면만 닳게 돼 에나멜질이 있는 면만 날카롭게 남게 된다. 이로써 효과적으로 질긴 나뭇잎을 자를 수 있었다. 이 그룹에는 마르지노케팔리아 그룹이 포함된다.마르지노케팔리아(Marginocephalia)의 특징은 머리뼈 뒤쪽에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전자레인지이고, 자주형 진공청소기는 스스로 알아서 청소를 해주고 청소가 끝나면
한쪽
구석에 가서 쉬는 지능형 진공청소기이다. ET-TV 역시 아이디어가 기발하다. 드라마나 뉴스를 볼 때는 사람의 피부색을 살려주고, 자연 다큐멘터리를 볼 때는 자연의 색을 강조해준다. 게다가 가족들이 보고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인류와 가장 가까운 원숭이와 유인원은 양손을 모두 사용한다. 개체로서는 어느
한쪽
손이나 발을 더 선호할 수 있겠지만, 종 전체를 놓고 볼 때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이 대개 같은 비율로 나뉜다. 아주 오랜 옛날에 사람이 사람과 원숭이의 공동조상으로부터 진화하는 과정에서 어떤 작용으로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형태를 보여준다. 체중이 오른쪽 발목으로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골반은 수평이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조각가는 이 작품의 안정을 위해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려놓아 전체적으로 신체구조가 완만한 ‘S’ 곡선을 그리도록 했는데, 이것을 ‘대비’(contrapposto)라고 한다.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꽁지를 땅에 질질 끌거나,
한쪽
날개만 겨우 퍼덕여 보인다. 몇m 달려나가다가 멈추고,
한쪽
또는 양쪽 날개를 퍼덕이기도 한다. 이 행동을 보통 ‘가짜 부상’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포식자들은 정상적이 아닌, 약하게 보이거나 상처입은 동물을 습격하는 경향이 있다. 물떼새는 속임수를 쓰면서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결정적인 요소임이 밝혀진 셈이다. 즉 은하와 은하가 충돌하면
한쪽
은하의 물질이 다른
한쪽
에 흡수되면서 성장하기도 하도 반대로 물질을 빼앗기고 줄어들기도 한다는 것.또한 이번 연구는 신뢰도 높은 별의 나이측정 모델을 통해 구상성단연구에 기여함으로써 우주의 나이측정에도 큰 몫을 할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곳을 살핀다.⑤ 연필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4의 과정을 되풀이 해본다.■확인하기양눈을
한쪽
씩 감아 보면 도화지에 위의 점과 연필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차이는 시차라고 하며 눈과 연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시차는 커진다. 시차를 이용하면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를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어느
한쪽
이 먼저 플립을 열면 전화국에서는 이곳으로만 신호를 보내주기 때문에 나머지
한쪽
에는 통화가 들리지 않아 도청할 수 없다. 2개의 이동전화가 같은 셀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신호는 동시에 울리지만 한 전화기의 플립을 먼저 열면 다른 전화기는 통화가 되지 않는다. 결국 이동전화의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일각’일 뿐이다. 인도판은 유라시아대륙 밑에 엄청난 양의 지각을 밀어넣고 그
한쪽
귀퉁이를 들어 올릴 정도의 ‘얼굴만 작은 장사’다.인도판은 약 8천만년 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1년에 수십cm에 달하는 무서운 속도로 북진했고, 5천만년 전부터 유라시아판에 충돌하기 시작했다(이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인체가 제대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예산(에너지)이 일정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만일
한쪽
기능이 너무 발달하면 이를 감당하기 위해 평소보다 많은 예산이 투여되기 때문에 다른 어딘가에서는 예산 부족으로 인해 ‘적신호’가 울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인체 각 부위의 기능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돼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