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보
발전
발달
개량
개선
진출
진전
d라이브러리
"
향상
"(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창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및 레저시설(해중공원 해상스포츠) 등에 이용된다. 앞으로 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으로 해양공간자원의 이용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우리나라 해양은 그 면적과 질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가장 훌륭한 편에 속한다. 국토가 협소하다고만 생각할 뿐, 3천3백여개의 섬을 포함한 긴 리아스식 ... ...
박테리아가 만드는 온실효과의 주범 메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주로 생성되며, 특히 논을 일궈 생산하는 쌀문화의 전파와 같은 비약적인 농업 생산력
향상
과 함께 급속히 증가했음을 알아냈다.그렇다면 메탄과 기후변동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연구진의 조사에 따르면, 빙하시대 말기무렵 박테리아와 같은 생물활동이 왕성해짐에 따라 CO₂나 메탄 등도 함께 ... ...
KIST 도핑컨트롤 센터장 박종세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개발됐는데, 이를 운동선수가 사용하면 단기적으로 경기력은
향상
되겠지만 심장마비를 일으키기 쉬워 매우 위험하지요."외국에서 공부를 하고 와 센터를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없냐는 질문에 "우리나라 연구원들이 서로 다른 분야를 공부한 사람들과 대화하기를 꺼리는 풍토가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등 5개영역을 중점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우주개발은 소련의 국제적 지위
향상
에 공헌한다고 인식하고 특히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소련의 과학기술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의 영향으로 최근 중요한 변환기로 접어들었다. 그 주요한 변화추세는 다음과 같다.소련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Hodgkin)은 1969년 역시 노벨상을 수상했다.이러한 생화학적 지식의 발달은 인슐린제품의
향상
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근래에는 유전공학적 기술을 이용, 대장균에서 추출한 인슐린을 엘라이릴리사에서 실제로 생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돼지의 인슐린을 사람의 것과 같게 전환시킬 수도 있게 되었다.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숨은 기능때문에 단순한 투자대 비용절감 효과 이상으로 산업체의 환경적응성을
향상
시켜 경영의 내실을 기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산업계 학계 정부의 힘을 집결한다면 '기술대국' 일본을 따라잡지 못할 이유도 없다고 생각한다 ... ...
정보통신용어, 잘모르는 사람 많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TV 신문 학교. 선생님 잡지의 순으로 꼽았다.응답자들은 정보사회에 대해 △생산성이
향상
되는 사회(81%)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사회(77%) △컴퓨터가 이익을 주는 사회(58%) △민주주의가 더 발전되는 사회(51%)라고 긍정적인 면을 평가하는 한편 △사람들간 교류가 줄어드는 사회(59%) △사생활침해가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우주시대의 둔탁한 우주선에는 별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그러나 우주선 개발기술이
향상
되고 그들의 센서가 보다 정밀해짐에 따라 SAA는 무서운 골칫거리로 등장했다.1968년에 발사한 인공위성 때문에 한때 곤경에 빠진 바 있는 블레스라는 천문학자는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모든 상황이 ... ...
X윈도를 한글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8MB이며 40MB까지 확장할 수 있다. 또 고속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통해 데이터 처리속도를
향상
시켰으며 60MB 카트리지 테이프장치를 이용, 신속한 데이터 백업(backup)과 보관을 가능하게 했다.삼성은 미국 MIT대학의 'X윈도버전11 릴리즈3'를 2바이트 완성형 한글코드에 따라 한글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글자가 바뀌는 시간을 더욱 짧게 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자빔이 진동하는 주파수를
향상
시키는 작업도 진행중이다. 보통 화면 전체가 바뀌는 시간은 70~90분의 1초인데 이를 짧게 할수록 화면의 어른거림이 덜하다. 또한 문자의 도트(dot) 밀도를 높이면 읽기가 쉽다는 점에 착안해 이를 개선하는 작업도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