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호킹 박사가 타계 10년 전인 2008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50주년 기념 강연에 나섰다. 오른쪽은 호킹 박사와 딸 루시 호킹. 사진 제공 NASA “발을 내려다보지 말고 고개를 들어 별을 바라보자.” 영국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저서로 알려진 ‘어려운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의 말미에 담긴 ... ...
“화성에 첫 발 딛는 인류는 여성이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ISS)에서 일하는 여성 우주인의 모습. NASA 제공 짐 브라이든스틴
미국항공우주국
(NASA) 국장은 "화성 유인탐사 과정에서 화성 표면에 첫 발을 딛을 우주인은 여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브라이든스틴 국장은 이달 8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과학매체 사이언스 프라이데이와 인터뷰에서 이런 내용을 ... ...
딥페이크 만들던 AI기술로 태양 뒷면 자기장 관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가장 중요한 자료는 태양 자기장 영상이다.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앞면 자기장 영상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에 장착된 태양 지진 및 자기 영상장치(HMI)를 통해 볼 수 있다. HMI는 태양의 내부 활동과 핵융합 메커니즘, 자기장 등을 관측하는 장치다. 문제는 지구에서는 볼 ... ...
스페이스X, ‘크루드래건’ ISS 안착...민간유인우주선 꿈 눈앞(종합)
2019.03.03
발사된데 이어 3일 국제우주정거장(ISS)과의 도킹에 성공했다. 스페이스X와
미국항공우주국
(NASA)는 3일 "미국 동부시각 새벽 5시 51분(한국시간 3일 오후 7시 51분), 크루드래건이 ISS 하모니 모듈과의 도킹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크루드래곤은 발사 뒤 지구를 18바퀴 돈 뒤 2016년 8월 설치된 ... ...
스페이스X, 민간 최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3일 저녁 ISS도킹 시도
2019.03.03
미국은 8년 만에 자국 땅에서 우주인을 발사할 수 있는 토대를 갖췄다. 짐 브라이든스팀
미국항공우주국
(NASA)장은 “이번 발사 성공으로 미국 땅에서 미국 발사체를 타고 미국 우주인이 날아오르는 데에 한 발 다가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2일 오전 2시 49분(미국 동부시간. ... ...
캐나다, NASA 달 궤도 우주정거장에 참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3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주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 상상도. 사진제공 NASA 캐나다가 미국이 주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프로젝트인 ‘루나 게이트웨이’에 참여하기로 했다. 미국 외 국가가 게이트웨이에 참여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캐나다가 처음이다. ... ...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곤’ 3월 2일 시험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스페이스X가 내달 2일 첫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곤'을 시험 발사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 22일 첫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곤'의 시험발사를 승인했다. 크루드래곤은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장에서 팰컨9 롯케에 실려 3월 2일 오전2시49분(현지시간)에 발사될 ... ...
美 화성탐사 로버 오퍼튜니티 사망 이틀만에 큐리오시티도 '안전모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5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셀카.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원인 미상의 안전모드에 들어가 사흘동안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NASA는 큐리오시티가 지난 15일 화성에 있는 샤프산을 오르던 도중 갑자기 안전모드에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내 호르몬 분석 역량을 갖춘 KIST 연구진이 결합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달 탐사 우주정거장 건설에 활용하는 것을 타진 중인 로봇 기술을 보유한 이우섭 KIST 선임연구원과 정창현 극지연구소 선임기술원은 극지 연구에 활용할 소형 육상 로봇 개발에 나선다.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나왔을 것으로 추정했다. 마크 쇼월터 미국 세티연구소 수석연구원팀은 미국 UC버클리,
미국항공우주국
(NASA)와 공동으로 해왕성 주위를 도는 지름이 34km의 위성 히포캄프를 발견해 네이처 20일자에 발표했다. 히포캄프는 1989년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2호가 처음 발견한 해왕성의 6개 소형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