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뉴스
"
시작
"(으)로 총 19,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전화 앱으로 불면증 치료 받아볼까…'솜즈' 국내 첫 디지털 치료기기 처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완료되는 대로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상진료 혁신의료기술 단계가
시작
되는 오는 4월 이후에는 가까운 1차 의료기관에서도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치료기기 솜즈 앱(APP)의 구동 화면. 서울대병원 ... ...
차미영 IBS CI,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위치한 막스플랑크 보안 및 정보보호 연구소에서 6월부터 단장(Scientific Director)직 수행을
시작
해 '인류를 위한 데이터 과학' 연구그룹을 이끌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막스플랑크는 기초과학 분야를 아우르며 독일 전역과 해외에 85개 산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소를 이끄는 300여 명의 단장 ... ...
공황장애 유발 핵심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완성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는 게 연구팀의 평가다. 한성 교수는 “공황장애가 어디서
시작
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뇌 영역을 탐구해왔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공황장애 관련 뇌 회로를 발견했으며 이는 기존 공황장애 치료제인 세로토닌 시스템 표적 약물 외 다른 치료법을 찾는 데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숲의 축축한 바위 밑에서 숨어 지내다가 밤이 되면 개미나 지렁이를 잡으며 먹이 활동을
시작
합니다. 하지만 먹이를 잡기 위해 멀리 이동하지는 못하죠. 도롱뇽은 어린 시절에는 계곡, 성장을 마치면 습지나 울창한 숲이 반드시 필요해 환경 오염에 특히 취약한 동물로 꼽힙니다. 도롱뇽과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강아지와 생후 9개월의 아기는 비슷한 생물학적 나이를 갖고 둘 다 이때쯤 첫 이가 나기
시작
하는데 한 살쯤 되면 아기가 고작 옹알이하고 있을 때 강아지는 갑자기 장년이 돼버렸다. 그러다 7살쯤 되어 노년에 이르면 시계는 다시 천천히 흘러 인간의 노화 패턴과 비슷해졌다. 래브라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글로 쓰는 삶의 '조각'이 '나'를 완성한다
2024.01.06
제공 자신을 안다는 것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
해야 될지 알기 어려운 거대한 과제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하지만 조금 다르게 생각하면 나를 안다는 것은 퍼즐을 맞추는 것과 비슷한 면이 있다. 1000피스 이상의 큰 퍼즐을 맞추다 보면 어디서부터 맞춰야 할지, 지금 내가 손에 들고 있는 조각이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외려 더 커질 수 있다. “너도나도 텀블러를 사용하고 자랑하기
시작
하면서 굳이 살 필요 없는 새 텀블러를 사자, 환경에 오히려 안 좋은 영향을 끼쳤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맞는 이야기다. 캐나다의 환경보호단체 CIRAIG가 2014년 보고한 기술보고서 ‘재사용 컵과 ... ...
꿀벌 줄어들자 '자가수분'으로 번식 전략 바꾼 팬지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꿀벌이 줄어들면서 번식 기회가 줄어든 식물들이 자가수분을 통해 번식하도록 진화하기
시작
했다는 것이다.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삼손 아코카-피델 프랑스 몽펠리에대 연구원 연구팀이 지난달 29일 국제학술지 '신식물학자'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尹대통령 “나도 과학자 꿈꿨다…혁신적 R&D 전폭 지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이제 대한민국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
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임기 중에 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R&D는 돈이 얼마가 들어가든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며 ... ...
천왕성·해왕성 실제 색깔 찾았다…"모두 옅은 청록색"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대한 오해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77년 발사한 우주탐사선 보이저2호 관측 이후
시작
됐다. 두 행성을 포착한 이미지들은 모두 두 행성이 서로 다른 색깔인 것처럼 기록했다. 이는 카메라가 포착한 여러 단색 이미지들을 후작업을 통해 합치는 과정에서 생겨난 오류다. 특히 해왕성 이미지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