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래"(으)로 총 3,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가장 상세한 모습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2020.04.08
- 4월 11일 영상의 제트 부분에서 6개 지점을 골라 상대적 속도를 측정한 그림이다. 보다 먼 아래 세 곳은 뻗어가는 방향이 일정한 반면, '근원'에 가까운 위 세 곳(C0-0, 0-1, 0-2)의 움직임은 꼬여 있는 듯 복잡한 모양이다.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지 캡쳐 ... ...
-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04.07
- 렌즈에 비해 초점심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초점을 맞춰 찍을 수 있는 거리가 다양한다. (아래) 숫자는 렌즈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다. MDL은 20cm부터 최대 5.943m 떨어진 지점의 피사체 초점을 동시에 맞추는데 성공했다 ... ...
- 꽃가루 성분 종이로 만든 스스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수용액을 넣고 80도의 온도를 가하며 배양한다(위). 이렇게 만들면 겔 형태가 되는데(왼쪽 아래), 이를 건조시켜 얇게 만들면 종이가 된다. PNAS 제공 이렇게 만든 종이는 제조 조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녔다.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투명한 종이가 됐고, 노출시키지 않으면 거울처럼 불투명한 종이가 ... ...
- "소변량 줄었어요. 병원 가세요" 네이처가 주목한 한국 연구자들이 만든 'AI 변기' 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왼쪽 세 번째), 압력센서(왼쪽 네번째), 항문 스캐너(가운데 아래 왼쪽), 지문 센서(가운데 아래 오른쪽)을 이용해 대소변의 상태를 측정해 클라우드에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로 매일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네이처 의공학 제공 소변은 소변 검사에 흔히 쓰이는 10개 생체지표를 지닌 ... ...
- 코로나19 확진 47명, 46일만에 50명 아래…신규 사례 3대 키워드 '수도권·해외유입·대구'동아사이언스 l2020.04.06
- 6일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코로나19 관련 환자수 현황. 존스홉킨스대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 환자수가 6일 0시 기준 47명 늘어 1만284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수는 3명 늘어 186명으로 집계됐지만 6일 오전 대구서 사망자가 3명 추가되며 총 189명으로 늘어났다. 100명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동아사이언스 l2020.04.05
- IBS 연구팀이 개발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기술로 백금입자를 관찰한 사례다. 위부터 아래로 8개의 입자를 관찰했다. (a)는 원자가 발견될 확률을 표시한 원자밀도 지도이고 (b)는 따로 추적한 원자 위치 정보를 지도화한 것이다. (c)는 연구팀이 계산을 통해 얻은 원자 특성 지수를 표시한 입체 ... ...
- 인체 단백질 공략하고 줄기세포 활용한다…코로나19 치료제 새 후보들 임상 착수동아사이언스 l2020.04.04
- 라는 세린 프로테아제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쪼개는 과정이 핵심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아래 그림 맨 왼쪽). 연구팀은 캐모스타트 메실레이트를 이용해 인체 세포의 TMPRSS2가 작용하지 못하게 하면 바이러스의 인체 세포 침투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세포 실험에서 확인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이 ... ...
- [프리미엄리포트] 퀀텀닷으로 암 진단하는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20.04.04
- 한 쥐 대장 내 암 원치 않는 곳에서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체 조직 아래 사진 빨간 영역) 퀀텀닷은 기존 형광 염료보다 강한 빛을 낼 수 있어 체내 깊숙한 곳에 있는 조직의 위치와 분포 등을 보여줄 수 있다. NANO LETTERS 제공 가령, 셀레늄화납 퀀텀닷의 전자 하나가 이동하기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는 어떻게 인간에게 옮겨왔나2020.04.03
- 증후군(COVID-19, MERS, SARS)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 3종의 특징, 자연숙주, 중간숙주를 아래 표와 그림에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천산갑 기생 바이러스 연구를 2017년부터 수행한 중국과 홍콩의 연구진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자연숙주는 박쥐이며 중간숙주가 천산갑일 것이라는 과학적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의 구조적 특징과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치료 전략2020.04.02
- RBD 중 하나의 RBD만 세포 표면의 ACE2와 처음 결합하는데 활용된다(B). 바이러스는 RBD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세포와의 결합력을 높인다. 출처 Wrapp et al., 2020, Yan et al., 2020 ‘가짜 스파이크단백질’과 ‘가짜 수용체’로 예방과 치료 앞서 설명한 것처럼 코로나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