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뉴스
"
안정
"(으)로 총 5,1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누리호의 심장인 75t급 액체엔진 연소 불
안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됐다”고 밝혔다.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와 산화제(추진제)를 충전하는 추진제 탱크도 난제다. 최대 높이 10m, 최대 직경 3.5m 크기의 탱크 내부에 대기압의 4~6배의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불
안정
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국가가 됐다.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은 151초였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첫 위성 발사 30년만 쾌거...과학위성·과학로켓으로 이어진 우주개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어렵고 해결 방법도 마땅치 않아 엔진 설계를 12번이나 바꾼 끝에 16개월 만에 연소 불
안정
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국가가 됐다.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은 15 ... ...
[영상+]누리호가 찍은 지구…우주까지 가는 전 과정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위성 궤도투입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모형이 실려있었다. 521초간
안정
적으로 연소를 해야 이들 위성을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위성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번 2차 발사에서 누리호는 목표 연소시간보다 빠른 발사 후 880초 뒤 성능검증위성을, 발사후 945초 뒤엔 위성모사체를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광전소자의 광 생성 및 소멸 원리를 밝힌 것으로 고
안정
성 페로브스카이트 소자 제작에 도움 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포스텍·삼성전자, 입자 충돌시켜 메모리 성능 높인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2.06.21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레벨 플래시 메모리는 8개 레벨을
안정
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성과는 이미 우수한 성능과 양산성이 검증된 플래시 메모리를 인공지능 반도체용으로 크게 발전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에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지상국과 지속적으로 교신을 이어간다. 발사 4시간 뒤에는 남극세종기지에서 자세
안정
화 여부를 확인한다. 발사 일주일 뒤부터는 성능검증위성에서 큐브위성을 사출한다. 큐브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위성을 뜻한다. 이틀 간격으로 큐브위성 4기를 하나씩 사출할 예정이다.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타 기관 예보에 따르면 21일 오전에 우천이 없는 것으로 예보된다. 고층의 바람 역시
안정
적이다. 내일 오전 작업 진행하고 정상적으로 발사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Q 발사를 앞둔 심경은 A 지난 주에 발사를 추진하던 과정 중에 하루의 지연이 발생했다. 날씨 때문에 미뤘다. 그 때만 해도 ... ...
지구온난화에 등산객 몰리면서 위험해진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200~400m 아래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있지만 얼음 절벽이라고 불리는 노출된 얼음 지대가 있다. 연구자들은 빙하를 가장 불
안정
하게 만드는 것은 얼음 절벽이 녹는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스콧 왓슨 연구원은 “얼음절벽이 녹을 때 얼음절벽 꼭대기에 있던 바위와 암석의 잔해물이 떨어진 곳이 녹으면서 물이 ... ...
"사망자수 더 줄고 유행전망 더 떨어져야 전환 가능해" 감염자 7일 격리의무 연장 배경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검토했지만 바이러스 배출량이나 배양기간을 고려할 때 7일 격리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안정
적이라는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1년 겨울 유행과 올해 오미크론 유행으로 형성된 면역효과가 4~6개월 후 떨어진다는 점, 올 7~8월 이후 전파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점 역시 고려했다. 하지만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