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단백질이 Wnt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한다. 이들 단백질 중 일부에 돌연변이가 생겨 오
작동
을 일으키면 암이 발생한다. 특히 소장 줄기세포 등의 세포막에 있는 RNF43 단백질은 Wnt 수용체(Fzd)를 분해해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의 변이는 결장암을 일으키는 ... ...
[백신 업데이트]올해 말?내년?…엇갈리는 백신접종 전망, 현실적인 시기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12월 말까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적어도 12월 말까지는 백신이 제대로
작동
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내년 3월과 5월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예측도 곁들였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의 사정은 또 다르다.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영국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합성을 했다”며 “문제는 바이러스를 원하는 형태로
작동
되도록 설계(디자인)할 수 있느냐인데, 학계에서는 아직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남궁 대표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의 단백질이 결합해 들어가는 부분인데 이 바이러스의 결합력이 ... ...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 “보물찾기 의존 벗어나 공학적 접근해야 의·생명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쉬운데, 이 교수가 연구하는 회로는 이와 다르다. 여러 기술을 이용해 뇌의 기능과
작동
원리를 밝힌 것으로, 질환이 일어난 곳이 있을 때 그 곳을 정확히 고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기존에도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 등을 이용해 행동 또는 기능과 뇌 특정 세포 또는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 ...
뇌세포 은밀하게 공격하는 코로나…결과는 치명적
연합뉴스
l
2020.09.11
이번 연구에서 드러난 것처럼 바이러스가 은밀한 공격을 할 경우엔 면역기능도
작동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와사키 박사의 연구는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에게서 산소공급 부족으로 인한 뇌세포 손상을 확인한 다른 연구 결과와도 부합하는 내용이다. 지금까지 의학계에선 신종 ... ...
염기 하나 딱 찍어 바꾼다…유전자 가위 넘어 유전자 핀셋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통해 구별하는 방식이다. 김대식 생명연 전임연구원은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오
작동
이 일어나는 위치를 확인한 연구”라며 “Cpf1 기반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성능이 확인돼 유전자 및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고부가가치 농축산물 품종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김상희 의원]한울원전 1,2호기 "5년 만에 처음 방사능 감지기
작동
"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이달 7일 경북 울진의 한울원전 1, 2호기에서 방사능 감지기가
작동
한 것이 5년 만에 처음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부의장)은 8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현안보고 회의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2014년 한울 ... ...
'특허·예측력 세계 2위'…코로나 시대 두각 나타내는 국내 AI-BI 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단백질인 단백질가수분해효소 ‘메인프로티에이스(Mpro)’의 구조를 바탕으로 이 효소의
작동
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 후보 30종을 FDA 승인 약품 3000여 개 중에서 찾았다. 이후 세포실험을 거쳐 총 3개 후보물질을 찾았으며 이 가운데 2건을 발굴해 5월 용도특허를 출원했다. 이달 3일에는 이 두 종을 ... ...
우주에서 33일 머물며 '머슬퀸'된 암컷 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반면 ISS에 올려보내기 전 근육 생성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이
작동
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해 근육량을 2배로 늘린 ‘마이티 마우스’ 8마리는 ISS에 다녀온 뒤에도 근육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마이오스타틴이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ISS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분해하면 식물이 이를 감지해 위기 신호를 보내고 그 결과 세포벽 복구 시스템이
작동
하며 대목과 접수가 단단히 붙는다는 시나리오다. 추가 연구를 통해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기를 바란다. 친화성 큰 식물이 어댑터 역할 해 가짓과 식물인 담배는 접붙이기 친화성이 유난히 커 다른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