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역사를 통해 여기까지 왔다. 너무나도 놀라운 업적을 이룩 한것이다. 이렇게 눈부시게 발
전
을 거둔 이유는 미국과 소련의 피눈물나는 경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도 일본도 그리고 중국도 뒤질새라 우주사업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일본도 우주왕복선을 자체개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제정러시아의 동진정책과 함께 농민의 대이동이 있었고 1918년의 혁명이후 점진적으로 완
전
히 소련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시베리아의 현재 인구는 약 3천3백만명으로 러시아인이 대부분이며 그밖에 우크라이나인, 백러시아인, 유태인 및 기타소수민족이다. 원주민은 약 1백20만명이나 수십종의 ... ...
LA─도쿄를 두시간에 하늘의 오리엔트특급 HST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카메라,자동차 산업에 있어 미국의 우위를 침해하여 왔지만 항공우주분야는 여
전
히 밝은
전
망을 주고 있다. 영국은 이미 그들이 2000년까지는 HOTOL(수평 이·착륙)이라 불리는 새로운 지상궤도비행기 구상을 갖고 상업적인 우주비행 시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리라 예견하고 있다. 영국 ... ...
포유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울리며 암컷을 찾아 헤멘다. 하나의 암컷을 대상으로 모여든 수컷들은 치열한 쟁탈
전
을 벌여 이긴 승자가 암컷과 함께 지내게 된다. 불과 1∼2주일을 함께 살면서 교미를 마친 수컷은 다시 홀홀히 고독의 방랑길로 떠난다. 남은 암컷도 저대로 헤매며 먹이가 될 짐승이 많은 고장을 찾아 양지바른 ... ...
날로 늘어나는 비만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여러 명이면 그중 특정의 아이만이 비만인 경우도 많다. 이것은 비만의 소질이 유
전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요즈음 도시 어린이들은 신체를 활발하게 움직이며 노는일이 적어 운동부족이 되고 있다. 거기다 식사외의 간식으로 양적으로 풍부한 식생활에 젖어 과식상태에 빠져 ... ...
동아시아인에 가장 흔한 위암 일본은 어떻게 극복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두개의 고리가 달린 줄을 넣어서 고리(loop)한개로는 돌기를 찾고 다른 하나로는 돌기를
전
기로 태워버린다. 삼키는 카메라 2년내 시판현재의 내시경은 더욱 개량될것이다. 섬유를 쿼츠로 대체하면 내시경의 줄은 보다 가늘어 질수있다. 그러나 너무 가늘어도 안된다는 제약이 따른다. 충분히 빛을 ... ...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생각하고 이것을 미리 짐작해서 데이터를 축적시키는 사람이 돈도 벌게 될 것이다. 얼마
전
에 한국에 온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강연내용이 생각난다. '탈대량화'에 '탈획일화'가 미래사회의 특징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정보의 수요도 이러한 특징을 가질 것이 틀림이 없다 ... ...
챌린저의 비극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채널이었다고 해석되고 있다. 미국은 사고원인 조사의 결론을 성급하게 서둘지 않고 '안
전
도 99.9999의 챌린저사고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혀내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것은 앞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각국의 우주개발계획을 위해서도 완수해야하는 의무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 ...
우리나라 해양발
전
의 내일을 연다 한국해양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안산시에 새 연구소 완공단계●2천년에는 3천억원 투자●해양한국의 기반 구축지구 표면의 70%를 덮고있는 바다. 바다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우주이다. ... 허박사의 낙관론이다. 한참 설명을 듣고 있으니 우리나라 해양과학분야의 눈부신 발
전
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듯 하다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미화석으로서는 많은 유공충의 화석이 산출된다. 제4기 홍적세(2백만년에서 1만년
전
까지)에서도 작고 큰 화석들이 발견되는데 최근에 충북 청원군 두루봉 석회동굴 퇴적층에서 코끼리 코뿔소 동굴곰 원숭이 사슴 등의 포유 동물 화석이 속출되고 있다 ... ...
이전
1573
1574
1575
1576
1577
1578
1579
1580
1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