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1,62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09
앞으로 남은 24년간의 교직생활에 두고 두고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마지
막
으로 좋은 기회를 마련한 「과학동아」그리고 공동주최한 동아문화센터 및 후원해주신 쌍용그룹에 감사를 드립니다 ... ...
가장 큰 날짐승
과학동아
l
198709
박쥐의 경우
막
이 엄지를 제외한 모든 발가락을 덮고 있지만 '프테로사우루스'의
막
은 다른것보다 훨씬 크게 자란 네째 발가락에 붙어 있었다. 첫째부터 세째발가락은 작은 발톱달린 발가락에 불과했고 이것은 날개 밖으로 튀어나와 있었다.그렇다면 과연 '프테로사우어'가 어떻게 날 수 있었을까 ... ...
AIDS바이러스, HIV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09
쓰이는 역전사(逆轉寫) 효소를 가지고 있다. 껍질은 두 개의 단백질층과 한 개의 지방질
막
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당단백질이 꽂혀있다(그림참조). 크기는 지름이 1만분의 1mm.에이즈가 무서운 이유는 환자가 면역을 잃어버려 각종 세균과 곰팡이에 무방비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HIV는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07
한창이다. 비닐하우스 안에 들어가면 비닐에 물방울이 송송히 맻혀 빛의 투과를
막
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햇빛이 자연스럽게 비닐하우스내에 들어오는 것이 어려우면 그 속에서 자라는 작물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좀더 쾌청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비닐하우스 재료가 요구된다. 연구팀은 이점에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07
미래의 병원은 공포없는 편안하고 친숙한 장소가 될 것이다. 에어로빅 댄스 강습이 이제
막
끝나려고 한다. 30분 뒤에는 이 방이 강의실로 쓰일 것이다. 2019년 7월 20일 저녁의 강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2층에서는 새로 입원한 2쌍의 늙은 부부가 신선한 상어 고기에 파와 쌀밥을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06
명단에는 츄리히 대학의 '찰즈 바이스만' 에딘버러대학의 '키니스 머레이', 뮌헨의
막
스플랑크 생화학연구소의 '피터-한스 호프슈나이더'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분자 생물학계에서는 이를테면 야구계의 홈런 타자들과 같은 초정상급 과학자들이었다. 이 명단을 훑어 본 길버트는 금방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05
실체가 무엇인지 서서히 밝혀가고 있읍니다. 인류생존의 새로운 시대 우리는 사하라사
막
에서 갖고온 한 식물의 원형질을 ‘개자리’라는 식물에 접합시켰읍니다. 물론 이 개자리는 염분과 남 ‘튀니지’지방의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견딘 잡종 개자리였읍니다. 또 우리는 페루산 토마토와 ... ...
실리콘은 사라지는가 광전자(光電子)시대의 반도체소자
과학동아
l
198705
집적기술의 성공은 그 산화
막
때문이라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반면 갈륨비소는 산화
막
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MOSFET소자를 만드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금속─반도체 접합면의 ‘쇼키’장벽(Schottky Barrier) 현상을 이용한 금속─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ESFET : Metal ... ...
제2의 전기혁명은 오는가? 초전도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8705
실온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제2의 산업혁명이 일어날 것이다. 초전도 자석을 이용하면 자기부상 열차, '전기 통조림', 핵융합 등 미래기 ... 절대온도 77도 이상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의 개발만으로도 실용화를 가로
막
던 장벽이 무너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04
인슐린 방출은 35%의 저하가 인정되었다.자장의 자극으로
막
전위가 변화하여 칼슘이온의
막
에 결합하는 상태가 변하여 인슐린이 세포밖으로 방출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핵심부분 접근은 지금부터호르몬은 극미량으로 존재하면서 큰 생리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그것은 이런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