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09
ADD)는 대한민국 첨단무기 개발의 산실이다. 국군이 사용하고 있는 재래식 무기는
100
%, 첨단과학기술 무기는 80%를 이곳에서 개발했다. ADD 창립 41주년을 맞아 올 5월 취임한 백홍렬 소장을 만났다. 백홍열 소장은 1970~80년대 ‘백곰 지대지유도탄’, ‘현무 지대지유도탄’ 등을 개발한 로켓 전문가다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09
교수와 학생이 자유롭게 묻고 답하는 수업이 가능하죠.” 아직도 많은 대학에서는
100
명 이상이 한 반에서 수업을 듣는 일이 흔하다. 그런 상황과 비교하면 GIST의 교육환경이 얼마나 학생 위주인지 알 수 있다. 실제로 GIST에서는 학부생들을 한 명, 한 명 가족 같은 마음으로 보살피고 있었다. GIST에서 ... ...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
수학동아
l
201109
배열하고 14와 15만 자리를 바꿔 놓은 뒤 올바르게 배열한 사람에게 무려
100
0달러(약
100
만원)를상금으로 주겠다고 선언했어. 그런데 이 퍼즐은 애초에 답이 없었어. 즉 1부터 15까지 차례대로 배열할 수 없지. 그걸 알았던 로이드가 상금을 걸었던 거야. 공간을 이용해 블록을 차례로 움직여 그림 또는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됐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지금 생각하면 놀라운 선견지명이다.실제로 오늘날에도 매일
100
t이 넘는 우주먼지가 지구로 들어오고 있다. 1년이면 4만t이나 된다. 태양계가 형성되고 수억 년 동안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혜성과 소행성, 운석, 우주먼지가 지구로 쏟아져 들어왔을 것이기 때문에 지구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사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2010년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지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
종’에 포함됐다.2005년 8월 15일부터 17일까지 동아사이언스 주최 ‘전국 자연 생태계 학습 탐사’가 횡성군 갑천면 어답산에서 열렸다. 필자는 중·고교 과학교사 10명의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탐사에 참가한 ... ...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09
12명으로 소수 정예 엘리트 교육이 기본 방침이다. [칭화대] 칭화대는 시험 성적이
100
점 만점에 60점을 넘지 않으면 학점을 받지 못하고 고등학교처럼 학과별로 석차를 매겨서 학생들을 치열한 경쟁으로 내모는 면이 없지 않다. 반면에 교수 1명이 학생 30명을 4년간 담임처럼 맡아 다른 대학보다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때는 여러 연구팀이 ‘컨소시움’을 구성한다. 여기 참여하는 과학자 수는 적게는
100
명에서 많게는 300명 정도. 침팬지의 게놈 신분증을 만들 때도 마찬가지였다. 박 센터장을 비롯해 세계 5개국의 8개 연구팀이 ‘침팬지 게놈연구 국제컨소시엄’을 만들었다. 이렇게 많은 과학자들이 참여해 각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09
따르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 일어난 산사태는 모두 7126ha(헥타르. 가로세로
100
m 넓이 단위. 산사태는 하나의 산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횟수가 아니라 면적을 기준으로 센다). 매년 평균 713ha의 산지에서 크고 작은 산사태가 일어났다. 이번에 우면산에서 일어난 산사태는 15곳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다른 수준의 방사광이 생긴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 우선 빔의 밝기가 3세대의
100
억 배 수준으로 높아진다. 전자의 가속 거리가 긴데다 가속된 전자들이 파장에 따라 훨씬 더 가지런하게 정렬돼 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 레이저와 특징이 비슷해 ‘X-선 자유전자레이저’라고 부르기도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9
많이 진행돼 남아 있는 갯벌은 6개에 불과했고 크기도 1km2가 채 안 될 정도로 작았다.
100
km2를 가뿐히 넘는 갯벌이 수두룩한 우리나라와는 천지차이였다. 통역과 안내를 맡은 이응철 사가대 지역사회개발학과 교수는 “큰 갯벌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 눈에는 너무 작아서 갯벌로 보이지도 않을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