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의미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최소한 수백 명의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데 저희 연구비
규모
로는 어림없었죠.”비만 덜한 아시아에서 당뇨 급증그런데 예기치 못한 곳에서 구원의 손길이 찾아왔다. 어느 날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홈페이지를 보다가 ‘바이오 모니터링 자료’라는 광범위한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장치는 물론 인체에 유해한 전자선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장비를 설계한 탓에
규모
가 우주망원경만큼이나 크다.무엇보다도 HVEM만이 가진 중요한 장점은 시료의 입체 구조를 관찰하는 ‘틸팅 기능’과 극저온에서 시료를 관찰하는 ‘급속 동결 장치’다. HVEM은 시료를 여러 각도에서 찍어 ... ...
2014년 ‘수학계 올림픽’ 한국서 열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불리는 필즈상을 개최국 국가원수가 수상자에게 직접 수여하는 전통도 있다. 대회
규모
와 대중에 대한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ICM은 ‘수학계의 올림픽’으로 불린다.이번 유치전에서 캐나다, 브라질과 경합한 한국은 ‘늦게 출발한 자들의 꿈과 희망’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전쟁의 잿더미에서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지구에서 남쪽왕관자리 방향으로 600광년 떨어진 분자운에 있는 아기별 IRS7과 IRS5에서 대
규모
자기장을 발견해 올해 1월 ApJ에 발표했다.사실 태양은 그 크기로 볼 때 지구나 목성에 비해 자기장이 굉장히 약해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다. 자기장이 강했다면 고에너지 입자나 전자기파 때문에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때문에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일반 모터와 달리 미끄러지지 않고 nm(나노미터, 1nm=10-9 m)
규모
로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 현미경이나 반도체 정밀가공장비처럼 아주 세밀한 움직임이 필요한 곳에 쓰이고 있다. 압전체는 나노기기를 만들고 나노기술을 완성하는 데 필수인 셈이다.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없어 대부분의 박물관에서는 훈증시설 전체를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 일본에서 6m3
규모
의 훈증실과 장비를 수입할 경우 2~3억 원이 든다.하지만 국립민속박물관은 약 5분의 1정도 가격에 5배 크기의 훈증실을 제작했다.훈증실을 설치한 뒤 소독에 들어가는 비용과 유물 피해는 크게 줄고 안전성은 ... ...
[의학] 목살 많으면 심장병 걸릴 확률 높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프레이밍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대
규모
의료 연구프로젝트인 ‘프레이밍햄 심장연구’에 참여한 영국 임페리얼 의대 지미 벨 박사팀은 허리가 가늘더라도 목에 살이 많이 붙어 둘레가 굵어지면 심장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3월 11일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털어놓는 선배와 후배 짝이다.전체 공학계 학생 7700명 중 여학생 1800명. 여학생
규모
로는 전국 2위인 부경대는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사업(WIE)의 일환으로 2007년 10월부터 ‘엘리트 여학생 멤버십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엘리트 여학생은 서류 면접과 구술 면접으로 6:1이 넘는 높은 경쟁률을 뚫은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규모
면에서는 지금처럼 하수를 한곳에 모아 처리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이 아니라 소
규모
분산형 정화시설로 변할 것이다. 각 주택마다 물을 정화해 바로 사용하는 시설이 들어서면 물 자급률은 크게 올라간다. 물 자급률을 높이려면 물은 한 번 쓰고 버리는 1회용이 아니라는 개개인들의 인식 ... ...
“작지만 강한 대학 GIST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62건, 2006년 134건, 2007년 112건 총 308건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했다. 또 26건에 31억 원이 넘는
규모
로 기술이전 계약을 이끌어내는 성과도 거뒀다.학술활동이나 교육수준을 국제 표준에 맞춘 점도 GIST만의 강점이다. 지금까지 GIST을 거친 외국인 교수와 연구원은 107명에 이른다. GIST를 졸업한 외국인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