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발견되는 뮤온과 타우온이 그들이다.만약 MSW이론이 맞고 전자중성미자가그 형태를
변형
한다면 태양의 핵융합에 관한 표준이론들을 입증할만 한 충분한 중성미자들이 실제 존재하지만 이 전자중성미자들이 지구에 도달하는 동안 그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우리가 기대하는 형태로 볼 수 없는 것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매뉴얼 제공.101 버전에 추가된 바이러스 목록.한국
변형
어둠의 복수자 바이러스한국
변형
느림보 바이러스Y4 바이러스오스트레일리아 바이러스폴란드-217바이러스데킬라 바이러스●분류 : 컴퓨터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개발자 : 안철수●개발언어 : 어셈블러●발표시기 : 92년 7월●자료위치 : HITEL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한 별로부터 X선이 지난 1965년에 처음으로 탐지됐다. 1971년에 이르러 X선의 비규칙적
변형
이 발견됐다. 이러한 발견이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시그너스 X-1이라 불리는 별이 나란히 회전하는 거대한 푸른 별 둘레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는 블랙홀이라고 단정짓는데 도움을 주었다.또 다른 블랙홀이라고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용해서 구축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규칙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변형
이 연구되어 왔다. 헤크만은 규칙이 아닌 확률적인 전문지식 표현 모델인 유사망(similarity net)으로 전산분야의 최고상인 1990년 ACM 박사논문대상을 받았다. 이는 그만큼 전문가시스템에서 지식표현이 중요한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지문대조는 숙달된 전문가에 의해서 행하여졌다. 그것은 지문이 찍혀지는 상태에 따라
변형
이 심하기 때문에 기존의 기계적인 인식방법으로는 그 인식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시스템공학연구소에서 만든 시스템은 1백여개의 특징점(융선, 곡률, 회전형태, 끊어진 점)을 분석하여 12초 내에 한개의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물리 화학을 생물 지학보다 더 어렵다고 생각한다."교과서에 나온 내용을 나름대로
변형
해서 출제합니다. 물론 기본원리에 초점을 맞추지요.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가 불분명한 상태에서는 오류를 범하게 마련이니까요"라고 말한 서울과학고 이광만교사(물리)는 과학고 입시문제 출제의 세가지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처음으로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문명발달이 이루어진 것과 같이 숯이 여러 형태로
변형
함으로써 철을 생산하고, 알루미늄을 만들고, 원자력을 사용하게 했으며, 우주로의 여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탄소재료는 지금까지의 인류발달과 풍요로운 문명세계를 이루게 하였다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최근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 새로운 유전자를 찾는 일이다. 기존의 단백질을
변형
하는 것보다, 거의 대부분의 단백질이 밝혀지지 않은 현실에서 새로운 유용단백질의 유전자를 찾는 것이 더 손쉽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특허를 받으면 독자적 상권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독성을 갖는가A) 고엽제 속의 유독성분인 다이옥신은 사실 원래 다이옥신의
변형
체다. 1943년 스패트(Späth)등에 의해서 최초로 합성된 다이옥신은 물과 유기용매에 잘 녹는 성질을 갖고 있어 주로 용제로 쓰였다. 따라서 수용성 페인트나 화장품 잉크 등의 재료로 쓰이는데 이 자체가 어떤 독성을 갖고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만일 이러한 고에너지 현상이 일어났다면 우주여광의 스펙트럼은 흑체의 것에서 크게
변형
되기 때문이다.이제 지난 4월 발표된 우주여광 비등방성 측정결과를 음미해보자. 코비는 우주여광이 천구상의 각 부분에서 대략 10만분의 1의 온도변화를 보임을 알아냈다. 즉 하늘의 두곳에서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