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4개가 죽어 2개 사진을 여러 장으로 만들라는 지시 받았다.” (KBS에)미즈메디
병원
노성일 이사장 “줄기세포 내 눈으로 확인했다.” (12.4 동아일보에)→“줄기세포 현재는 없다. 11개 중 9개는 분명 가짜다.” (12.15 언론에)한양대 윤현수 교수 “내가 직접 테라토마 실험을 했다.” (PD수첩에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친밀도가 다르다.얼굴 윤곽에서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균형. 박 원장은 이화여대
병원
미용성형센터 과장으로 재직할 당시 이를 측정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안면윤곽 밸런스 각도 분석법’(BAPA)을 개발했다. 기존에 얼굴 윤곽을 분석하는 방법은 2차원이었다. 얼굴 위의 특정한 두 지점을 잇는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없다.이에 대해 황 교수는 12월 16일 기자회견에서 “누군가가 줄기세포를 미즈메디
병원
것과 의도적으로 바꿨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2월 22일 검찰에 수사요청서를 제출했다. 이를 두고 “스스로 줄기세포는 없다고 고백한 셈이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조사위는 2004년 논문도 검증을 진행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 교수는 “병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박테리오파지에 실어
병원
성 세균에 넣으면 비
병원
성 세균으로 바꿀 수도 있다”며 바이러스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더 나아가 바이러스가 갖고 있는 단백질을 의학적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2004년 연세대 성백린 교수는 담배 표면에 반점을 ... ...
홈즈의 새로운 단짝 '다무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걸리므로 1번 동물
병원
으로 가는 것이 가장 빠르다.싹트는 우정 그러나….다무러는 동물
병원
에서 치료를 받고 무사히 나을 수 있었다. 썰렁 홈즈의 따뜻한 사랑을 다무러 역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사건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런 사랑의 감동도 잠시. 오늘도 썰렁 홈즈는 다무러의 식성 때문에 ... ...
철새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알아보도록 해요. 조류독감어과동조류독감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고려대학교 구로
병원
감염내과의 김우주 교수님을 찾았어요. 김우주 교수님은 조류독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계시는 전문가예요.Q 교수님, 우선 독감(인플루엔자)에 대해서 우리 친구들이 알기 쉽게 설명 좀 해 주세요.A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나쁘다고 보는 일부 시각은 옳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사실 바이러스 앞에 툭하면 ‘
병원
성’이라는 말이 붙고 심지어 ‘악성’이라는 말도 심심치 않게 붙는다. 이 교수는 “생태계 입장에서 보면 바이러스는 조절자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누군가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도록 조절하는 힘이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산소 2.6kg을 방출함으로써 3.5명이 하루 동안 숨쉴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한다. 이 양은
병원
에서 사용하는 산소 약5만 2천 원에 맞먹는 경제적 가치를 갖는다.2. 나무가 많으면 공해 걱정도 끝!오존층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지만 오존은 독성이 있어 대기 중에 많이 존재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
병원
성이 있고 어떤 종은 용혈성(溶血性)을 가지고 있다 자동제어공학이나 전기통신공학에서 폐(閉)루프계(系)의 주파수 특성을 벡터 궤적으로 나타낸 선도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체적으로 공모작의 수준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중편소설 부문에서는 미지의
병원
체를 소재로 외계행성에서 벌어지는 사회문제를 다룬 ‘별상’을 쓴 김창규씨, 단편소설 부문은 글자판 ‘D’에 지적재산권이 부여된 가까운 미래의 상황을 다룬 ‘Smart D’의 배명훈씨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