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대한 연구를 통해 일대일 대응, 농도와 같은
새
로운 개념을 도입해 ‘집합론’이라는
새
이론을 만들었다. 칸토어는 집합론을 만들어 현대 수학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19세기의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사람으로 불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피니트가 들려주는 무한도 ... ...
PART 3 미녀
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하하와 홍철이는 오랜 우정을 자랑한다. 비오는 날이면 물웅덩이를 뛰어넘는 내기를 하며 놀기도 했다. 이들에게 점프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미션이 주어졌다.높이뛰기 ... 더 멀리, 더 높이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PART 3 미녀
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 서이초등학교 “색종이로'무게중심
새
'를 만들었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명의 학생들이 모두 무게중심 잡기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답니다.여러분도 기사를 통해
새
롭게 배우고 싶은 수학 원리가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직접 만들며 체험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쏘여 진피 내에 엉켜 흉터를 만들고 있는 콜라겐 섬유를 제거한다. 그 자리에 다시
새
살이 올라와 덮는 방법이다. 레이저 대신 화학물질을 쓰기도 한다.3이번 학회에서 특히 주목받았던 것은 ‘광역동요법(photo dynamic therapy)’이다. 피지선과 여드름균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광감작제(photosensitizer)를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은 하늘의 무법자인 매이다. 매는 높은 하늘을 날며 빠른 속도로 먹이를 잡는 육식성
새
이기 때문에 인간에 비해 4∼8배나 멀리 볼 수 있다. 매는 색을 감지하는 원뿔세포의 밀도가 인간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선명한 천연색 영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막대세포는 거의 갖고 있지 않아서 어두운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미리 알 수 있습니다. 또
새
로 찾은 화학물질이 기존 치료제와 다른 기작으로 작용한다면
새
로운 약물 표적을 개발할 수도 있죠. 화학유전체학은 그야말로 일석이조의 연구 분야입니다.”신약표적 연구실은 화학물 라이브러리에서 혈당을 낮추는 물질도 발견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인슐린과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돌아온 썰렁홈즈는 깜짝 놀랐다. 사무실 지붕이 감쪽같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업
새
블라가 썰렁홈즈의 탐정사무실 지붕을 뜯어 집 전체를 측우기로 만들어 버렸다. 오늘도 썰렁홈즈는 주룩주룩 비를 맞으며 사무실에서 강수량을 재고 있다.일러스트 :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잡초가 사라질 줄 상상이나 했겠어. 산이 민둥산이 되고 거기 살던 동물이 달아나고,
새
가 사라지고 붕붕거리던 곤충마저 눈에 띄게 줄어들 줄은 몰랐지. 그래. 꿀벌은 수천만 년 동안 속씨식물과 함께 진화한 곤충이야. 꿀벌이 갑자기 사라지면 지구의 식물이 짝을 잃는다는 걸 꿀벌이 사라지고서야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넓게 비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같은 시각에 위성으로 관측한 자료를 보면
새
모델이 예측한 결과와 매우 비슷했다.집중호우 100% 예측할 수 있나?상세 국지예보모델이 기존 모델보다 더 낫다고 해도 모든 오차 원인을 해결한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예측 한계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문제를 해결하는 게 가장 좋다”면서도 “한정된 연구비와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
새
로켓을 또 다시 개발하는 것보다는 이 편이 더 유리하다”고 소개했다.4개의 로켓으로 이뤄진 1단 로켓의 점화가 끝나면 2단 로켓이 점화된다. 2단 로켓은 1단에 들어간 것과 똑같은 75t 추력의 로켓이다. 그 위에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