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없으면 부패가 일어난다. 부패되면 맛이 없음은 물론이고 독성을 띠게 된다. 앞에서
지적
했듯이 숯은 크기가 1천분의 1mm정도 되는 무수한 구멍을 가지고 있다. 신기한 것은 곰팡이같이 덩치가 큰 미생물은 숯에 기생을 못하고 우리에게 유익한 미생물은 숯의 구멍에 서식한다는 사실이다. 숯에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보호하기 위해서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이다.지구 최초의 사회적인 동물이며,
지적
인 동물인 인간은 이제 열대우림의 중요성을 새롭게 자각해야 한다. 사라져가는 열대우림에 대해 우리들이 오늘도 여전히 뒷짐을 진 채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면, 더욱 심화된 재앙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역사의 소재는 사실상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대체 역사’나 ‘평행 우주’는
지적
유희로서도 손색이 없지만 현실에 대한 또다른 방식의 논평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신선한 의미를 지닌다. 대원군이 쇄국정책 대신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펼쳤다면? 1945년에 남북이 분단되지 않았다면?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노소장은 “우리나라 TV 토론을 보면 후보의 하체가 책상에 가려 안보인다”는 점을
지적
한다. 그런 탓에 진실을 얘기하지 않는 후보의 무의식적 행위가 가려진다는 것이다. 안절부절 못하는 다리의 움직임, 그리고 다리를 자주 꼬거나 움직이는 행동은 진실을 말하지 않을 때 ‘도망가고 싶다’는 ... ...
세기말 바람타고 날아온 바이블 코드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드로스닌이 헤브루어를 바이블 코드의 텍스트로 삼아 자신의 주장을 펼친 것에 대한
지적
도 적지 않다. 원래 모음 없이 자음만으로 기록된 토라는 그 본문이 부정확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헤브루 성서는 나라를 잃고 흩어져 살던 유대 율법학자들이 서기 600-700년경 많은 구약성서 사본을 참고해 ... ...
장애아들을 위한 과학놀이 한마당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보는 것에 대한 호기심이 크다며 다음과 같이
지적
했다. “일반 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한
지적
성취가 미흡할 지는 모르지만, 이 학생들에게도 과학은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이 재미있고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장애아를 위한 한마음 과학 싹잔치'는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무관하지 않다.그 스스로 한번도 자신을 소설가라고 지칭하지 않았을 만큼 다양한 그의
지적
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기억하는 그의 이름은 SF와 함께 한다. 그가 쓴 과학소설은 대개 주인공을 과학의 놀라운 세계로 몰아넣고, 이것이 일반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살피는 전개방식을 ... ...
뇌파학습기 끼고자면 모두 우등생?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우리나라밖에 없다”고 말하면서 뇌파조절기구에 대한 우리 사회의 과장된 관심을
지적
하고 있다.뇌파학습기에 대한 열광에도 불구하고 이 기기를 통해 성적이 향상된 학생은 그리 많지 않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큰 기대를 갖고 구입하지만, 곧 실망을 안고 이를 멀리하게 된다. 학생들은 기대를 건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오늘날과 같은 초첨단 장비를 동원하지 않고 대피라미드를 건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지적
한다. 왜냐하면 대피라미드 건축에 적용된 오차의 범위가 오눌날의 건축물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이다.현대 기술 뺨치는 정밀성예를 들어 오늘날 가장 정밀한 건축물의 대표격인 파리천문대와 그리니치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유익한가그러나 1970년대부터 성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에 심각한 논리적 오류가 있다는
지적
이 생물학자 사이에 공감대를 넓혀갔다. 변절자 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집단선택(group selection)이 미국의 조지 윌리엄스에 의해 공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집단선택이론은 자연선택이 개체가 아니라 집단에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