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8,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
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받았다"면서 "오늘날 양자역할의 역할을 AI가 한다고 생각한다. AI가 물리학, 화학, 생명
과학
까지 앞으로 수십 년간 연구에도 많은 파급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겁니다. 생명
과학
커뮤니티는 원래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성장했어요. 수십 년간
과학
자들이 기술과 정보를 공유해가며 쌓아온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성장한 알파폴드가 그 예외가 돼선 안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네이처는 5월 22일 뒤늦게 '알파폴드3-왜 네이처는 코드 없이 ... ...
[노벨상 2024] 'AI 생화학 무기' 나올까…화학상 수상 베이커 교수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 위키미디어 제공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자 '단백질 설계' 분야 대가인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 ... 주도한 협약에는 백민경 서울대 생명
과학
부 교수, 박한범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등 국내 연구자들도 참여했다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
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기능은 아미노산이 긴 가닥으로 연결되고 접힌 3차원 구조가 좌우한다. 1970년대부터
과학
자들은 아미노산 서열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려고 했지만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2020년 알파폴드2라는 AI 모델을 발표해 거의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알파폴드2는 ... ...
10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남중현·김범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올해 신설된 영(Young) 엔지니어 수상자로는 박지혜 삼성전자 연구원이 선정됐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024년 하반기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산기협은 매월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엔지니어 각 1명씩에게 과기정통부 ... ...
전기 내뿜는 실로 상처 꿰매니 회복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전기를 방출해 상처 회복을 촉진하는 봉합사(絲)를 개발했다. 허우 청이 중국 동화대 재료
과학
·공학대 교수팀이 정전기로 미세 전류를 방출해 회복을 촉진하는 봉합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수술이나 부상으로 생긴 깊은 상처는 ... ...
매운 음식에도 플라시보 효과…맵지 않을까 걱정하면 더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우충완 기초
과학
연구원(IBS) 뇌
과학
이미징연구단 부단장이 이끈 연구팀은 인간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가 자극의 세기뿐 아니라 자극이 얼마나 아플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연구팀은 기대가 쾌락적 경험에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모형의 기반이 되는 아주 고전적인 모델이 바로 볼츠만 머신"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과학
자는 이후 AI 산업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힌턴 교수는 직접 기계학습 업체 'DNN리서치'를 설립했다. 이후 2013년 DNN리서치가 구글에 인수되면서 그는 약 10년 간 구글의 AI 연구를 맡아왔다. 힌턴 ... ...
[노벨상 2024] 인공지능 핵심 '머신러닝' 토대 구축한
과학
자 2명 물리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물리학을 활용해 인공신경망을 훈련시킨
과학
자 2명이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
과학
원 노벨상위원회는 8일 202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존 홉필드(91)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턴(77)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두 연구자는 인공지능(AI)의 기본으로 여겨지는 ... ...
윤영빈 청장 "현재 우주청 인력 NASA 10분의 1…국가 주력산업에 도전할 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8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8일 세종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청사에서 진행된 국회
과학
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을 합친 연구인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10분의 1 정도지만 국가의 주력산업에 도전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